
결핵 환자 발생률은 2011년 최고를 기록한 이후 6년째 감소했다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2017년 결핵 환자 신고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결핵 신환자는 2만 8161명(10만 명당 55.0명)으로 전년 3만 892명(10만 명당 60.4명)에 비해 9.0%(2731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핵 신환자는 모든 연령층에서 감소했다. 특히 20~29세 젊은 층에서는 20.0% 큰 폭으로 감소했다.
결핵 신환자 중 65세 이상 노인층의 경우 1만 1798명으로 전년보다 2%p 증가한 전체 42%를 차지했다.
외국인 결핵환자의 경우는 2153명에서 1632명으로 전년 대비 23.1% 감소했다.
지난해 신환자 발생률(인구 10만명당 신환자수)은 55.0명으로 역대 최고치(78.9명)를 기록한 2011년 이래 6년 연속 감소했으나 우리나라는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결핵 발생률 1위다.
이에, 정부는 결핵관리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탈피하고 후세대로의 질병 대물림을 차단하기 위해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2022년까지 결핵발생을 2016년 기준(인구 10만 명당 77명)에서 절반 수준(인구 10만 명당 40명)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제2기 결핵관리종합계획’수립 및 시행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올해 ‘결핵예방의 날’ 을 맞이해 세종문화회관 세종홀(1층)에서 '결핵예방의 날' 행사를 연다. 본부는 국가결핵관리사업에 헌신한 서울삼성병원 고원중 교수와 대한결핵협회 등 유공자 84명에게 대통령 표창 등을 수여한다.
오유정 키즈맘 기자 imou@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