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과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를 비롯해
17개 시
·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 함께 이달부터 매주 주말
900여개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 문체부에 따르면 올해로
7년째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프로그램 운영 분야를 확대하고 신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지난해 시범사업으로 운영한 문학프로그램
‘일상의 작가
’는 카페
, 작은책방
, 도서관 등 문학 관련 공간을 활용해 작가와 함께 가족의 일상
, 감정
, 생각을 문학으로 풀어내는 프로그램으로 올해 신규사업으로 확대 운영한다
. 또 청소년이 예술가와 함께 연극무대를 만들거나 영화를 제작하는 등 문화예술분야의 직업을 체험하는 진로탐색의 일환으로
‘청소년
×예술가
프로그램
’도 확대 운영한다
. 이 밖에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과학기술과 융합한 아동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 하반기에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시범운영하는 등 사업모델을 개발한다
. 각 프로그램들은 진흥원의 운영을 바탕으로 사업안내서를 만들고
, 향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등 관련 기관과 공유해 우수 프로그램을 확대
·보급할 예정이다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무료로 운영되며
, 기초생활수급자
, 차상위계층
, 한부모가정
, 결혼이민자가정
, 북한이탈주민
, 장애인 자녀
, 특수교육대상자 등은 우선 참여할 수 있다
. 한편, 2012년부터 아동
·청소년과 아동
·청소년을 포함하는 가족들에게 문화예술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박물관
, 도서관
, 문화예술회관 등의 문화기반시설에서 미술
, 음악
,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지난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 만족도 조사를 통해 참여자들이 사업에 전반적으로 만족
(90.5%)하고 가족 간 소통
(94%)과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85.2%)이 많아졌다는 것을 확인했다
.”라며
“앞으로 만족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업 지원 체계를 개선하는 데 노력하겠다
.”라고 밝혔다
.오유정 키즈맘 기자
imou@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