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집 식탁 안전에 적신호가 켜졌다. 가족 밥상의 단골 메뉴이자 지난해 살충제 파동으로 대란을 빚기도 했던 '계란'의 안정성 우려가 다시 제기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독일과 네덜란드 등 유럽에서 다시 ‘살충제 계란’ 이 유통 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 먹거리 안전에 다시금 비상이 걸린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깊다.
일부에서는 국내 역시 '살충제 계란'으로부터 여전히 안심하기 이르다는 시각도 있어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각 정부부처의 사후 제도개선 움직임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해 살충제계란 사태와 관련 계란 회수율은 19.2%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즉 살충제 계란 10개 중 8개가 식탁에 올라간 셈이다. 계란은 특히 대표적인 신선식품인 데다 특성상 소비가 빨라 회수하기가 쉽지 않은 만큼 사전에 안전관리를 철저히 해야하는 품목이기도 하다.
계란 파동 후 정부의 즉각적인 조치는 난각표시를 통해 계란에 대한 자세한 관련 정보를 쉽게 검색해 볼 수 있도록 정보 조회를 시스템화했다. 내년 2월부터는 난각에 생산자, 사육 환경과 산란 일자까지 표시하는 것이 의무화된다.
친환경 인증 기준도 대폭 강화됐다. 축산농장 해썹(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기준에 살충제 항목이 추가되는 한편, 판매기록 관리 의무화 규정을 모든 농약으로 확대해 유해물질을 사전 차단키로 했다.
이밖에도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산란계 농가의 계란에 대한 지도·점검 및 검사를 지속 실시하여 부적합 농가에서 보관하거나 유통 중인 계란에 대해서는 지자체와 합동으로 전량 회수·폐기 조치하고 추적 조사 등을 통해 유통을 차단하고 있다.
앞서 닭 진드기 방역을 위해 기존에 문제가 됐던 '피프로닐'이 포함된 살충제 대신 안전성 및 유효성이 확보된 닭 진드기 방제 약품 3종에 대한 국내 판매를 허가하기도 했다.
이러한 정부의 재발방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식품안전의 최후 보루로 여겨졌던 친환경 인증 계란에서 조차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탓에 소비자들의 불안감과 불신은 여전히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이런 연유로 일각에서는 동물복지농장이 살충제 계란의 대안일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김동현 농식품부 동물복지정책팀장은 <키즈맘>과의 전화통화에서 "동물복지 인증 농가는 사육환경을 기준으로 삼기에 살충제 사용에 대해 100% 안전하다고 볼 수는 없다"라고 말했다.
김 팀장은 "자연친화적인 사육환경으로 인해 사육동물들이 받는 스트레스가 적어져 살충제 남용을 줄이는 효과는 있을 수 있다"라며 "동물복지 차원에서 동물복지 인증 농가 증가를 위해 최신 설비 우선 설치와 직불금 제도 도입을 기재부와 협의 중"이라고 답변했다.
송새봄 키즈맘 기자 newspring@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