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 동안 임신성 당뇨병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임신성 당뇨병 위험도가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삼의료재단 미즈메디병원이 지난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동안 임신성 당뇨병 선별검사를 분석한 결과를 분석했다. 이에 총 2만7127명 중 7%에 해당되는 1744명의 임신부가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됐다.
임신성 당뇨병은 2012년에는 5.3%, 2017년도에는 7.8%, 2021년에는 10.1%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임신성 당뇨병은 2단계 검사법으로 진단한다. 1단계 선별검사(50g 당부하검사)는 임신 24~28주 사이에 50g의 당쥬스를 마시고 1시간 후 검사해 혈당이 140mg/dL 이상이 나올 경우 2단계로 진단 검사를 진행한다.
진단 검사(100g 당부하검사)는 공복인 상태에서 혈당을 측정하고 100g의 당쥬스를 마신 후 1,2,3시간째 혈당을 측정한다. 이때 공복을 포함한 4번의 혈당수치 중 2번 이상 기준치(공복 95 mg/dL, 1시간 180 mg/dL, 2시간 155 mg/dL, 3시간 140 mg/dL)보다 높으면 '임신성 당뇨병'로 본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단계 선별검사인 50g당부하검사를 받은 총 2만7122명을 분석한 결과 2단계 진단검사를 받아야 하는 임신부는 6698명으로 24.7%를 차지했다. 2012년에는 21.4%였으나 2021년에는 30.7%으로 크게 늘었다.
또한 나이에 따른 50g 당부하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20~24세는 12.4%, 25~29세 17.7%, 30~34세 23.6%, 35~39세 29.9%, 40~44세 33.5%, 45~49세의 경우 40%가 임신성 당뇨병 선별검사에서 140 mg/dL 이상 수치를 보였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임신성 당뇨병 가능성 또한 높게 나타난 것이다.
김민형 미즈메디병원 산부인과 과장은 "임신성 당뇨병은 일반 당뇨병과 달리 자각증상이 없어 오로지 혈액검사를 통한 혈당 수치로만 진단할 수 있다"며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호르몬이 인슐린 대사와 연계되어 발생하는 질환이고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는 나이, 체질량 지수와 연관이 깊기에 최근 임신부의 연령이 증가하고, 과체중, 비만 임신부가 증가하면서 임신성 당뇨병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고 말했다.
이어 김민형 과장은 "임신성 당뇨병에서 혈당이 잘 관리되지 않을 경우, 임신부에게는 조산, 임신성 고혈압, 난산, 제왕절개 분만이 증가하고 태아에게는 과체중아, 출생직후 저혈당, 황달, 신생아 호흡곤란, 사산율이 증가할 수 있다"며 "그러나 혈당관리를 잘하면 정상 임신부와 별차이 없이 건강하게 출산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스스로 자가 혈당기록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칼로리와 식단, 간식에 대한 영양관리, 운동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