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열대어 예쁘다~" 했는데, 알고보니 지구 위기?

입력 2023-11-22 16:50:26 수정 2023-11-22 16:50:26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파랑돔 /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제주도가 아닌 울릉도에도 열대어 '파랑돔' 무리가 발견되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21년부터 최근까지 울릉도 연안 어류 종 다양성을 살펴본 결과 131종의 어종이 관찰됐다고 21일 밝혔다.

문헌이나 기록이 있는 종을 합치면 울릉도 연안 어류는 지난달 기준 총 174종으로 작년에 비해 20종이 더 생겼다.

직접 관찰된 131종 가운데 열대성 어류와 아열대성 어류가 각각 49종, 27종으로 전체의 58.5%를 차지했다.

열대·아열대성 어류는 온대성 어류(48종·36.9%)의 1.5배나 됐다.

자원관은 몇몇 조사 지점에서 파랑돔이 100마리 이상 관찰돼 기존에 비해 10배 많아진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자원관 관계자는 "재작년과 작년엔 파랑돔 무리 규모가 50마리 남짓이었는데 올해는 최대 500마리 무리가 관찰되기도 했다"고 전했다.

파랑돔은 다 자라도 10cm 정도 밖에 되지 않는 작은 물고기다. 수심 20m 내외 바위가 많은 곳에 무리 지어 생존한다.

서식 수온은 16~31도로, 원래는 수온이 따뜻하게 유지되는 제주 해역에 주로 나타났으나 현재는 울릉도와 독도 해역까지 서식지가 넓어진 상황이다.

파랑돔은 올해 4월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번 자원관 조사에서는 제주에서 '다금바리'로 불리는 자바리와 연무자리돔, 흰꼬리노랑자리돔, 검은줄꼬리돔, 검은줄촉수, 큰점촉수 등 아열대성 어류가 대거 새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밖에도 열대·아열대성 어류는 용치놀래기와 놀래기 등이 많이 관찰됐다.

울릉도 해양생태계 변화의 주된 원인은 해수 온도 상승이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올해 8월 하순부터 9월 초순까지 한반도 주변 해역 표층 수온은 26도로, 위성을 활용해 표층수온을 관찰하기 시작한 1990년 이래 가장 높다.

이 기간 동해 표층 수온은 25.8도로, 평년 치보다 2도 이상 높았다.

올여름만 유독 바다 온도가 높아진 것은 아니다.

한반도 주변 해역 해수면 온도 변화를 보면 2001~2010년 평균은 15.9도, 2011~2020년 평균은 16.7도로 20년 사이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다.

미래 전망은 어떨까. 성장만을 중시해 화석연료를 끝없이 사용하는 '고탄소 시나리오'(SSP5-8.5)를 적용하면 동해와 남해 해수면 온도는 2041~2060년에 현재(14도)보다 2.4도, 2081~2100년에는 4.9도 높아진다.

다만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저탄소 시나리오'를 적용하면 동해와 남해 해수면 온도는 2014~2060년과 2081~2100년에 각각 현재보다 1.8도와 1.6도 높은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3-11-22 16:50:26 수정 2023-11-22 16:50:26

#울릉도 , #지구온난화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