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청년층 부부 "무자녀인 이유는…"

입력 2024-05-13 15:50:59 수정 2024-05-13 15:50:59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셔터스톡


20대 중반부터 30대까지의 부부 10명 중 2~3명은 자녀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노동연구원의 ‘지난 10년 무자녀 부부의 특성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노동패널 자료 분석 결과 2022년 기준 가구주가 25∼39세인 청년층 기혼 가구 중 27.1%는 무자녀 부부였다.

청년층 무자녀 부부의 비중은 지난 2013년 22.2%에서 10년 새 5%포인트 가까이 늘었다 맞벌이 부부의 무자녀 부부 비중은 21.0%에서 36.3%로 10년 사이 15.3%포인트 늘었다.

반면 홑벌이 부부 가운데 무자녀 비중은 2022년 기준 13.5%로 맞벌이인 경우보다 적었다.

자녀 유무에 따른 아내의 취업상태를 비교해보면 무자녀 부부의 경우 아내가 취업 상태인 비율이 2013년 53.2%에서 2022년 71.0%로 17.8%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유자녀 부부 아내의 취업 비중은 10년 사이 36.6%에서 40.6%로 4.0%포인트 증가했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주거 불안정성이 무자녀 부부의 출산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고 봤다.

무자녀 부부의 자가 보유 비중은 2022년 기준 34.6%로, 유자녀 부부 52.0%에 비해 낮았다. 무자녀 부부 중 맞벌이가 많아 이들의 월평균 가구 실질소득은 대체로 유자녀 부부보다 많고 저축액도 많았으나 저축의 주목적이 ‘주택 마련’이라는 응답률이 무자녀 부부에게서 약 1.7배 높았다.

권익성 노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무자녀 부부의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주거 지원 확대가 필요해 보인다“며 ”일·가정 양립을 촉진할 수 있는 지원 확대와 무자녀 부부 아내의 노동시장 특징별로 출산 유인을 높일 수 있는 맞춤형 정책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입력 2024-05-13 15:50:59 수정 2024-05-13 15:50:59

#청년층 , #무자녀 , #부부 , #무자녀 부부 , #청년층 무자녀 , #청년층 부부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