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유례없는 속도" 저출산에 전국 인구 마이너스(-) 시작된다

입력 2024-05-28 13:46:48 수정 2024-05-28 13:46:48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머지않은 미래에 한국은 서울 및 전국 17개 시·도에서 한 곳도 예외 없이 인구가 자연감소할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자연감소란 출생아보다 사망자 수가 많은 것으로, 인구 증가세가 마이너스(-)로 전환됨을 뜻한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시도편(2022~2072년)'에 따르면 2045년부터 17개 모든 시·도에서 출생아보다 사망자 수가 많은 인구 자연감소 현상이 나타날 전망이다.

이미 2022년에는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인구가 자연감소했다.

2022년 국내 총인구는 5167만명에서 2024년 5175만명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2052년이면 4627만명으로 내려가 2022년에 비해 10.5% 감소할 전망이다.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속도의 저출산이 인구감소의 원인이다.

최근 시도별 인구변동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22년 대비 2052년 시도별 총인구는 세종과 경기만 증가하고, 나머지 시도는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2052년 세종 인구는 2022년보다 16만명, 경기는 12만명 증가하지만, 서울과 부산은 각각 149만명, 85만명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출생아 수가 줄어들고 기대수명은 증가하면서 전국 중위연령도 상승할 전망이다. 중위연령은 전체 인구를 나이 순서로 나열할 때 한가운데에 있는 사람의 연령을 뜻한다.

2022년 전국 중위연령은 44.9세에서 2052년 58.8세로 높아질 것으로 추산되며, 전남 64.7세, 경북 64.6세, 경남 63.5세 순으로 높고, 세종 52.1세, 서울 56.1세, 대전 56.4세 순으로 낮을 것으로 보인다.

인구감소는 도시의 생산성에도 타격을 주어, 2022년 대비 2052년 생산연령인구(15~64세) 감소율이 가장 높은 곳은 중공업 도시인 울산(-49.9%)이 될 전망이다.

학생 수 감소 폭도 심각해진다. 전국의 학령인구(6~21세)는 2022년 750만명에서 2035년 268만명이 급감해 482만명이 된 후 2052년 424만명까지 내려간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4-05-28 13:46:48 수정 2024-05-28 13:46:48

#저출생 , #저출산 , #인구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