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출산은 행복이에요" 예상은 했지만 이 정도일 줄…

입력 2024-06-10 14:33:50 수정 2024-06-10 14:33:50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셔터스톡


서울에 거주하는 시민 100명 중 8~9명만이 출산을 행복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한국여성단체협의회(이하 협의회)가 '서울시 출산·육아 관련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협의회가 올해 4∼5월 20∼40대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여성에게 출산은 행복한 일'이라고 답한 비율은 8.3%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출산에 부담을 느낀다고 답한 비율은 응답자의 75.8%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 84.1%, 30대 80.1%, 40대 65.5%로, 나이가 어릴수록 출산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꼈다.

'여성은 출산 후 국가나 사회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고 여긴 이들은 52.6%로, '도움을 받는다'(21.7%)는 비율보다 훨씬 많았다.

연령대별로 '도움을 받지 못한다'고 인식한 비율은 20대 59.1%, 30대 53.9%, 40대 47.2%로 조사됐다.

출산·양육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이하 복수 응답)으로 68.4%가 '육체적 곤란(피로 및 수면 부족 등)'을 꼽았다. 이어 '경력단절'(67.4%), '교육비용'(66.2%), '돌봄비용'(61.2%), '돌봄문제'(58.8%), '주거비용'(53.5%), '심리·정서적 문제'(46.3%), '의료문제'(37.0%) 등의 순이었다.

20대의 경우 '경력단절'(84.1%)과 '주거비용'(64.9%)에 대한 우려가 더 큰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시가 가장 시행하길 바라는 저출생 정책으로는 61.9%가 '임신·출산 관련 지원정책 강화'를 택했다. 아울러 '아버지 육아휴직제도 강화'(60.6%), '직장 내 보육시설 확대'(54.2%), '돌봄 지원 인력 제공 서비스(가사도우미 및 베이비시터 등) 확대'(53.4%), '어린이집 유치원 등 보육시설 확대'(45.3%), '초등학교 돌봄과 종일반 확대'(44.4%), '아동 전문 응급의료센터 확충'(40.2%)의 순이었다.

한편 협의회는 이번 조사 등을 바탕으로 19일 국회에서 출산·양육 정책 포럼을 개최할 계획이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입력 2024-06-10 14:33:50 수정 2024-06-10 14:33:50

#서울시 출산 , #보육시설 확대 , #출산 관련 , #한국여성단체협의회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