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비대면 금융사기 피해자 구제책 도입

입력 2024-06-18 14:24:24 수정 2024-06-18 14:24:24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셔터스톡


앞으로는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었을 때 일부 구제받을 수 있게 된다.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올해 1월부터 보이스피싱 등 비대면 금융사고 피해에 대한 자율배상 제도를 시행 중이다. 이에 보이스피싱 등으로 피해를 본 경우 이 제도를 통해 보상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볼 것을 안내했다.

비대면 금융사기로 금전 피해가 발생한 경우 올해 1월 1일 이후 발생분에 대해 자율배상을 신청할 수 있다.

배상금액은 전체 피해 금액 중 통신사기피해환급법상 피해환급금을 제외한 금액을 대상으로 은행의 사고 예방 노력과 소비자(고객)의 과실 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된다.

은행의 고객확인절차,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운영 등 예방활동이 있었는지, 소비자는 주민등록증·휴대전화·비밀번호 등 관리를 소홀히 했는지 등을 고려한다.

피해가 발생한 본인 명의 계좌가 개설된 각 은행의 상담창구에 전화해 제도 적용 여부, 필요 서류 등을 안내받아 은행 영업점 등에서 배상을 신청하면 된다.

금감원은 "보이스피싱 등 비대면 금융사고로 피해를 입은 경우 즉시 통합신고센터 또는 은행 콜센터로 전화해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비대면 금융사고 책임분담기준에 대해서도 꼭 상세한 상담을 받고, 해당하면 거래은행에 자율배상을 신청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입력 2024-06-18 14:24:24 수정 2024-06-18 14:24:24

#금융사고 피해 , #금융사고 책임분담기준 , #자율배상 제도 , #보이스피싱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