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이젠 로봇이 요리하겠네"...20년 후 음식업 종사자 67만명 줄어든다

입력 2024-06-26 17:57:32 수정 2024-06-26 17:57:32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저출산이 심화하면서 약 20년 후 음식업 종사자가 67만명 감소하는 등 여러 산업에서 노동 공급이 줄어들 것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여성·장년층·외국인 인력들의 경제 활동 참가를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과 한국노동연구원이 25일 서울 여의도 FKI센터에서 개최한 '인구감소의 노동시장 영향과 대응과제' 세미나에서 이철희 서울대 교수는 향후 20년간 인구변화로 노동공급이 가장 많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으로 음식점 및 주점업(66만9426명 감소), 소매업(자동차 제외·61만6명 감소), 도매 및 상품 중개업(23만7255명 감소)을 꼽았다.

반면 향후 20년간 사회복지 서비스업(29만1823명 증가), 건축기술·엔지니어링 및 기타 과학기술 서비스업(9만5148명 증가),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4만73명 증가)에서는 노동 공급이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교수는 인구변화 충격에 따른 노동공급 감소에 대비하기 위해 여성과 장년 인구의 경제 활동 참가율을 높여야 한다며, 여성의 경력단절 완화, 퇴직 이후 일자리의 부합성 제고, 중장년층의 건강 및 인적자본 질의 개선 등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비자 체계와 체류 관리, 외국인력의 효율적 배분, 외국인력 도입 규모 결정 합리화 등 관련 정책의 개선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인실 한반도미래연구원장은 종합토론에서 "인구감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젊은 MZ세대에 맞춘 과감한 정책변화가 필요하다"면서 “일·가정 양립을 위한 육아휴직이나 사내제도도 장기적인 인적 투자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도 기업의 참여를 위해 적절한 지원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수는 심각한 저출산 여파로 노동시장에 경고등이 켜지고 있다며 "1~2부문의 인구정책에 집중된 예산지원, 최소 10년 이상의 인구전략기획부 장관 임기 보장 등 혁명적이고 과감한 정책 추진이 인구감소 해법 및 한국의 노동시장과 경제성장 패러다임 전환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4-06-26 17:57:32 수정 2024-06-26 17:57:32

#로봇 , #음식업 , #저출산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