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이타적이고 성실한 일상이 '이 질환' 발병 시기 늦춘다

입력 2024-10-29 18:42:01 수정 2024-10-29 18:42:01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셔터스톡


이타적이며 성실한 생활을 통해 유전성 치매의 발병을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 용인시 단국대병원 핵의학과 손혜주 교수팀이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김재승 교수팀과 공동으로 이러한 사실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

29일 단국대에 따르면 유전성 치매로 알려진 우성유전 알츠하이머병(ADAD)은 일반적인 치매보다 이른 나이인 30대~50대에 발병한다. 전체 알츠하이머 환자의 1%도 안 되는 드문 유형이다. 이 병은 특정 치매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부모와 비슷한 나이에 발병하는 경향이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해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것이 일반노인들의 치매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지만 유전성 치매에서도 이러한 비유전적 생활습관이 증상의 발병 나이를 늦출 수 있는지는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다.

회복탄력성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마음의 평화를 유지하고 일상생활을 잘 해내는 능력을 말하지만 치매연구에서는 뇌의 손상이 있어도 기억력과 사고력을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연구팀은 DIAN(우성유전 알츠하이머병 네트워크) 코호트 국제연구를 통해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유전성 치매환자와 가족 529명을 임상·인지 검사, 뇌척수액에서 측정한 타우단백질 수치, 운동, 사회활동, 삶의 경험 및 행동 양식을 면밀히 분석했다.

그 결과,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발병 원인으로 알려진 타우단백질 수치가 높아도 인지기능을 유지한 ‘높은 회복탄력성 그룹’은 치매증상을 보이는 그룹보다 인지적으로 활발하고 사회적으로 통합된 삶을 살았다.

또 성실성,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개방성, 사회적 협력 및 이타적 태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성실하게 살아온 삶의 경험은 발병이 임박한 후기 전임상 시기에서도 치매발병 연령을 늦추는 독립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러한 성실성 지표가 개인의 회복탄력성을 평가하고 미래 치매발병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단국대는 “유전성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을 정의한 첫 학술적 시도인 이번 연구는 개인의 노력으로 조절 가능한 비유전적 생활습관이 유전성 치매증상 발병 나이와 의미 있는 연관이 있음을 최초로 밝혀 치매연구 분야에서 큰 전환점을 제시한 중요한 연구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손혜주 교수는 “성실성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꾸준히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는 삶의 태도를 의미한다. 이는 기존 치매연구에서 주로 다룬 특정 인지기능점수나 사회경제적 배경의 영향을 받는 교육수준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전 생애 동안 뇌의 활동성과 목적성을 유지하는 습관으로 굳어진 고차원적 지능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성실한 삶을 선택하고 이를 지속하는 것은 개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관계없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기에, 성실성은 개인의 의지와 노력으로 조절 가능한 중요한 치매 예방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입력 2024-10-29 18:42:01 수정 2024-10-29 18:42:01

#유전성 치매환자 , #치매발병 연령 , #미래 치매발병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