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장(국가유산청 제공) / 연합뉴스
콩을 발효해 간장·된장 등을 만들어 먹는 한국의 장(醬)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다.
5일 유네스코와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유네스코 무형무환유산 보호 정부 간 위원회(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기구는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에 대해 '등재 권고' 판정을 내렸다.
평가기구는 등재 신청서로 나온 유산을 심사한 뒤 그 결과를 '등재'(inscribe), '정보 보완'(등재 보류-refer), '등재 불가'(not to inscribe)로 구분한다.
우리 정부가 신청한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는 '등재' 판정을 받았다. 평가기구는 심사 결과를 발표한 뒤 이를 무형유산위원회에 권고하는데, 통상 등재 권고 판정이 뒤집히는 경우는 드물다.
평가기구 측은 한국의 장 문화에 대해 "밥, 김치와 함께 한국 음식 문화의 핵심"이라고 언급하며 "집마다 (맛이나 방식이) 다르며 각 가족의 역사와 전통을 담고 있다"고 밝혔다.
12월 2~7일 파라과이에서 열리는 제19차 무형유산위원회 논의를 거쳐 최종 등재 여부가 결정된다.
장은 한국 음식의 맛과 정체성이 담긴 중요한 요소로, 장 담그기는 고대부터 폭넓게 전승되어 온 음식문화 중 하나다. 삼국시대부터 장을 만들어 즐겨 먹었다고 전해지며, 조선시대에는 왕실에서 장을 보관하는 창고인 장고를 두고 '장고마마'라 불리는 상궁이 관리할 정도로 장을 중요시했다.
특히 콩을 발효해 먹는 문화권 안에서도 한국의 장은 독특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장을 담글 때는 '콩 재배, 메주 만들기, 장 만들기, 장 가르기, 숙성과 발효' 등의 과정을 거치는데 중국, 일본과는 제조법이 다르다.
특히 메주를 띄운 뒤 된장과 간장이라는 두 가지 장을 만들고, 지난해에 사용하고 남은 씨간장에 새로운 장을 더하는 방식은 한국만의 독창적인 문화로 인정받는다. 이는 2018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이번 '등재' 판정으로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는 우리나라의 23번째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될 것이 거의 확실시됐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4-11-05 11:04:16
수정 2024-11-05 11: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