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utterstock
정부가 공항 활주로 근처 항행 안전시설에 대한 위험성을 조사한 결과 국내 7개 공항의 9개 시설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교통부는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이후인 지난 2~8일 인천·김포국제공항 등 전국 13개 공항의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LLZ) 등 항행안전시설의 위치, 재질 등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13개 공항의 로컬라이저 32개와 활공각 제공 시설(GP), 거리측정 장치(DME) 51개, 전방향 표지(VOR) 17개소에 대한 현장 점검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무안공항을 포함한 7개 공항에서 항공기와의 충돌 시 쉽게 부서지지 않아 피해를 키울 수 있는 로컬라이저 시설이 발견됐다.
광주공항, 여수공항, 포항경주공항에 각 1개씩 콘크리트 둔덕 형태의 로컬라이저 구조물이 있었고, 김해공항과 사천공항에는 콘크리트 기초가 일부 땅 위로 튀어나온 구조물이 각각 2개씩 있었다. 제주공항에는 H형 철골 형태의 단단한 구조물이 있었다.
인천과 양양공항은 종단안전구역 내 설치돼 있었으나, 이들 공항의 9개 시설은 모두 부러지기 쉬운 재질로 안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양양공항은 시설 기초 부분의 지반이 일부 내려앉아 관리 기준인 높이 7.5cm를 약 4~5cm 넘는 것으로 나타나 즉시 흙을 채워 넣는 등 조치하도록 했다.
국토부는 "항행안전시설 외에 전국 공항 주요 공항시설에 대해서는 이날부터 21일까지 특별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이번 특별 점검 결과와 종합해 안전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