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utterstock
2024년 한 해 동안 연간 취업자가 16만명가량 늘었지만, 전년보다 증가 폭은 '반토막'으로 줄어들었다.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천857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15만9천명(0.6%) 늘었다.
연간 취업자 수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30만1천명 증가했다가 펜데믹이 시작된 2020년 21만8천명 감소했고, 이듬해 36만9천명 늘었다.
2022년에는 81만6천명 늘어나며 2000년(88만2천명) 이후 22년 만의 최대 증가 폭을 나타냈지만, 이어 2023년 32만7천명, 지난해 15만명대로 떨어지는 등 2년 연속 증가 폭이 줄어들었다.
산업별로는 건설업 취업자 수가 4만9천명 줄었다. 201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감소 폭이 가장 크다.
도매 및 소매업(-6만1천명)과 제조업(-6천명) 등도 취업자가 감소했지만,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만3천명) 등은 취업자가 늘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26만6천명 늘었지만, 20대에서 12만4천명 줄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7%로 전년보다 0.1%포인트 올랐다. 1963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인 15∼64세 고용률도 69.5%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시기인 2021년 2월 47만3천명 줄어든 이후 3년 10개월 만에 첫 감소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건설업, 제조업, 도소매업 등 산업군에서 취업자 감소 폭이 확대되면서 취업자가 전반적으로 감소 전환했다"고 말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