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utterstock
교육 현장에 도입될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의 실효성을 두고 현장 교사들 간 의견이 엇갈렸다.
17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진행된 AI교과서 검증 청문회에서 교사크리에이터협회 이사인 조재범 교사는 AI교과서를 우려하는 상황에 대해 "아직 개발되지 않은 메뉴에 대해 사진만 가지고 별점을 주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AI교과서가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지 않은 상황에서 평가를 내리는 것은 조금 성급하다"며 "디지털 과잉이나 중독, 문해력 저하 등을 지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해의 부족에서 오는 오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 교사는 "웹 전시본이 나오고 연수를 해보니 교사들의 반응이 그 전에 비해서 많이 좋아졌다"며 "현장에 더 많이 보급되고 교사들이 더 많이 활용한다며 학습 효율성과 효과가 증명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AI교과서는 생성형 AI보다는 반응형 AI에 가깝다"며 "개별 맞춤형 수업이 가능해져 (학생들의) 학습 그리고 교사들의 수업에 분명히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실천교육교사모임 회장 천경호 교사는 "AI교과서가 학생들의 교과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을진 몰라도 교과를 왜 배워야 하는지 충분한 의미나 목적은 전달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AI교과서는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은 줄이고 학생과 AI교과서와의 상호작용을 늘리기 때문에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는 의미나 목적이 오히려 아이들에게 전달되지 못한다는 게 해외 연구에서 반복해서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AI교과서가 어디에 도움이 되느냐 하면 교과 보충"이라면서 "방과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 교육자료로, 교과보충지도자료로 사용하는 것은 충분히 다룰 만하다"고 말했다.
일부 교육감은 재정적 어려움을 호소했다.
박종훈 경남도교육감은 "서책형 교과서 가격은 권당 평균 1만원이라고 하는데 AI교과서는 업체의 입장은 9만∼12만원 수준이니깐 10배 정도 비싸다"며 "이걸 지방교육재정으로 감당하라고 하는 것은 지나치게 가혹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은 "구독료 관련해서 지방재정교부금법으로 대체하라고 한다면 재정이 열악한 우리 교육청으로는 어떻게 해볼 방법이 지금으로서는 없다"며 "교육부에 선처를 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