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Health

한약이 '간독성' 유발? 억울한 누명 벗겨졌다..."악의적인 오도"

입력 2025-02-10 19:35:13 수정 2025-02-10 19:35:13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한의 의료기관에서 처방받은 한약은 간독성 위험이 매우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0일 원성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팀과 이상헌 단국대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2011~2019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 데이터를 활용해 환자 67만2411명을 대상으로 한의 의료기관을 통한 한약 처방과 '약물 유발 간 손상' 발생을 확인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 대상이 된 환자 중 한의 의료기관에 내원했거나 한약 처방을 받은 경우 90일 이내에 약물 유발 간 손상 발생 위험이 커지지 않았는데, 특히 외래 환자군에서는 위험도가 1.01(95% 신뢰구간: 1.00~1.01)로 거의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양방 병·의원에 내원했거나 양약 처방을 받은 환자들은 병·의원 방문 후 3~15일 이내 약물 유발 간 손상 발생 상대 위험도가 1.55(95% 신뢰구간: 1.55~1.56), 양약 처방을 받은 경우 2.44(95% 신뢰구간: 2.43~2.44)로 확인됐다.

앞서 한약은 '간독성' 문제로 종종 논란이 되곤 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 한방 진료 관련 피해구제 신청 127건 가운데 한약 치료 관련 부작용 28건 중 간독성을 호소한 사례는 11건(39.3%)이었다.

대한한의사협회(한의협)는 이번 연구 결과를 두고 "지금까지 한약은 간에 나쁘다며 국민을 오도하던 일부 양의 계의 주장이 전혀 근거 없는 악의적인 거짓말이라는 것을 명명백백히 밝혀준 값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규모 데이터를 활용한 학술논문을 통해 한약이 간에 안전하고 나아가 간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입증됐다"고 밝혔다.

한의협은 또 약물 유발 간 손상의 주된 원인은 양약이라면서, 한약이 간독성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것은 국내외 논문과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학술논문은 국제 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파머콜로지'(Frontiers in Pharmacology) 1월호에 실렸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5-02-10 19:35:13 수정 2025-02-10 19:35:13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