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기자회견하는 고영인 경제부지사(경기도 제공) / 연합
경기도가 구리시의 계속된 서울시 편입 추진에 맞서 경기도시공사(GH)의 구리시 이전 절차를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
21일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21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구리시가 서울시에 편입되면 경기도 공공기관인 GH가 구리시에 갈 아무런 이유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백경현 구리시장은 GH 이전과 서울 편입을 동시에 추진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라면서 "GH 이전과 서울편입 동시 추진이 진짜 가능하다고 생각하느냐"고 반문했다.
고 부지사는 "경기도는 구리시장의 서울편입 추진에 유감을 표하며 그에 상응하는 조치로 GH 구리 이전과 관련된 모든 절차를 전면 중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GH 구리시 이전은 단순히 구리시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침체한 경기 북부를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원동력으로 도약시킬 북부개발의 상징"이라며 "백 시장은 개인의 정치적 이득을 위해 구리시민을 기만하고 구리 시민 간 갈등을 부추기는 행위를 중단하기 바란다"고 지적했다.
고 지사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주장한 지방분권 개헌을 언급하며 서울에 구리·김포시 편입을 요구하는 것은 취지에 어긋난다고 말했다.
그는 "(오 시장은) 지난해 총선 정국에서 구리시와 김포시의 서울 편입을 주장했다"면서 "하지만 얼마 전 토론회에서는 지방분권을 골자로 하는 개헌을 주장했다. 서로 그 취지가 맞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이어 "오 시장은 조속히 지방분권에 역행하고 갈등을 부추기는 구리·김포 서울 편입 추진에 대한 포기 선언을 하라"고 요구했다.
앞서 이재명 경기지사 재임 시절 경기도는 관내 공공기관을 경기 동북부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했고, 2021 경기도 공모 결과 구리시가 GH 이전 대상지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토평동 9600㎡ 부지에 지하 3층·지상 19층, 전체건축면적 3만㎡ 규모로 GH 본사 건물이 지어질 예정이었다.
그러나 2023년부터 구리시는 서울 편입을 추진했고, 이에 '서울 편입을 추진하는 시에 경기도 산하 기관을 이전하는 것이 맞느냐'는 비판이 나왔다. 인접 도시인 남양주에서 시의회와 시민단체는 GH 이전지 재검토를 요구했다.
한편 지난해 7월 구리 시민 7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66.9%는 서울 편입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