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인상 시점이 올해 3월에서 1~2개월 늦춰질 전망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1일 서울시의회 제328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박수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월에 지하철 요금이 인상되나'라고 묻자 "차질이 생겼다. 한두 달 순연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받았다"고 밝혔다.
이어 "지하철의 경우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맞물려 있어 인상안이 경기도의회를 통과해야 하는데 어제 통과가 안 됐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경기도의회는 전날 열린 임시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제출해 상임위원회를 통과한 11개 안건을 전부 올리지 않았다. 철도 요금을 150원 인상하는 내용의 '도시철도 운임범위 조정에 대한 도의회 의견청취안'도 미상정 안건으로 분류됐다.
시는 2023년 10월 7일부터 지하철 기본요금을 1천250원에서 1천400원으로 150원 인상한 바 있다. 당시 시는 지하철 요금을 두 번에 걸쳐 올리겠다며 150원 추가 인상 시점을 2024년으로 예고했으나,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따라 인상하지 않았다.
이후 경기도와 인천시, 코레일은 올해 3월 지하철 요금을 150원 추가 인상하는 방안으로 뜻을 모았으나, 경기도의회에서 인상안이 통과되지 못했다.
앞서 1월 오 시장은 출입기자단 신년 간담회에서 "작년에 (지하철 요금을) 올렸어야 하는 것을 정부의 물가인상 억제 기조에 미룬 경과를 본다면 올 상반기에 올려도 어색함이 없다"고 말했다.
또 무제한 대중교통이용권인 기후동행카드 시행으로 인해 적자 폭이 커진 서울교통공사 지원 방안에 대해선 "요금 인상분으로 충분히 메울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오 시장은 '기후동행카드 확대로 서울교통공사 적자가 심각하다'는 지적에 "적어도 교통비 문제만큼은 복지 차원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판단"이라며 "적자 문제는 가슴이 아프지만, 다른 정책과는 차별화된 입장을 견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후동행카드로 발생한 적자는 1년에 1천800억원가량으로 알려졌다. 이 중 절반인 900억원을 서울시가, 나머지 900억원은 서울교통공사가 부담하는 상황이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