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좌우 대립 너무 심해"...국민에게 '사회갈등' 어떤지 물었더니

입력 2025-03-03 21:42:55 수정 2025-03-03 21:42:55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지난해 국민이 느낀 '사회갈등' 정도가 2018년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이런 내용의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4년 6~9월 19~75세 성인 3천 명을 대상으로 '2024 사회통합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우리 사회의 갈등도는 4점 만점에 3.04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문항이 포함된 2018~2023년 조사를 통틀어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18~2021년 3년간의 조사에서는 각각 2.88점, 2.90점, 2.89점으로 소폭 등락했지만 2022년엔 2.85점으로 다소 낮아졌고, 이후 2023년 2.93점, 2024년 3.04점으로 2년 연속 상승했다.

여러 갈등 유형 가운데 응답자들이 가장 심각하게 여긴 갈등은 '진보와 보수' 갈등이었다. 2018년엔 3.35점이었다가 2023년 3.42점, 지난해엔 3.52점으로 상승했다.

이어 지역 간(수도권과 지방) 갈등 3.06점, 정규직과 비정규직 3.01점, 노사 갈등 2.97점, 빈부갈등 2.96점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 조사에서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은 10점 만점에 4.32점이었다. 코로나19 시기였던 2021년 4.59점으로 가장 높았다가 2년 연속 후퇴해 2023년엔 4.20점으로 낮아졌으나 작년엔 소폭 회복했다.

정부에 대한 신뢰도를 보면 사법부, 행정부, 입법부 순으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사법부에 대한 신뢰도는 2014년 32.50%에서 지난해 43.65%로 꾸준히 상승했고, 행정부 신뢰도는 2014년 35.10%에서 2021년 최고치인 47.91%를 찍은 뒤 감소 추세를 보여 지난해엔 39.07%였다.

입법부 신뢰도는 2014년보다 6%포인트가량 늘긴 했으나 지난해 24.59%로, 20%대에 그쳤다.

사회통합 실태조사는 국책연구기관인 보건사회연구원이 2014년부터 매년 수행하는 과제로, 열한 번째인 작년 조사에서는 이주민과 관련한 사회통합 인식에 초점을 맞춘 문항이 제시됐다.

응답자의 61.49%는 '우리 동네에 피부색이나 문화적 배경이 다른 외국이 살아도 이상하지 않다'고 답했다.

이민정책에 대해선 '현재 추세를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53.83%로 가장 많았고, 21.17%는 '외국인을 '지금보다 더 많이 받아들여야 한다', 18.78%는 '더 적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응답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5-03-03 21:42:55 수정 2025-03-03 21:42:55

#정치 , #사회갈등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