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셔터스톡
오는 2050년에는 현재 성인의 60%, 아동·청소년의 30% 이상이 과체중 또는 비만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호주 머독 어린이 연구소 제시카 커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의학 저널 랜싯에서 세계 204개 국가·지역 주민의 1990~2021년 과체중·비만 비율을 추정하고 다양한 데이터로 2022~2050년 과체중·비만을 예측했다.
연구팀은 1990~2021년 세계 204개 국가·지역의 아동·청소년(5~14세), 청소년(15~24세), 성인(25세 이상) 과체중·비만 비율을 추정하고, 주요 국가 데이터를 포함한 최대 1350개 데이터를 사용해 2022~2050년 과체중·비만 변화를 예측했다.
과체중·비만 기준은 체질량지수(BMI)를 사용, 18세 이상은 과체중 BMI 25kg/㎡ 이상 30kg/㎡ 미만, 비만은 BMI 30kg/㎡ 이상으로 정의했다.
그 결과 성인과 아동·청소년의 과체중·비만 비율이 30년간 2배 이상 증가했다. 과체중·비만 인구가 성인은 1990년 7억3100만명에서 2021년 21억1000만 명으로, 아동·청소년은 1억9800만 명에서 4억9300만 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2050년에는 세계 성인의 약 60%인 38억 명과 아동·청소년의 3분의 1인 7억4600만 명이 과체중 또는 비만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2050년 5~14세 남자 아동·청소년의 비만율은 16.5%로 과체중 비율(12.9%)을 크게 앞설 것으로 예상됐다.
또한 세계 성인 과체중·비만 인구(2021년 기준)는 절반 이상이 중국(4억2000만 명), 인도(1억8000만 명), 미국(1억7200만 명), 브라질(8800만 명), 러시아(7100만 명), 멕시코(5800만 명), 인도네시아(5200만 명), 이집트(4100만 명) 등 8개국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세계적인 과체중·비만 유행을 막으려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연구라며 중요한 것은 최근 세대가 이전 세대보다 체중이 더 빨리 증가하고 비만이 더 일찍 발생, 제2형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 등 합병증이 더 어린 나이에 발생할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