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 / 논문 출처 : Nature, Rahul Roychoudhuri et al., 'Aspirin prevents metastasis by limiting platelet TXA2 suppression of T cell immunity'
해열·소염 진통제 등으로 쓰이는 아스피린이 면역 억제 경로에 작용해 암세포 종양이 다른 장기로 전이되는 것을 막아주는 매커니즘이 밝혀졌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로 암 전이를 막는 효과적인 항전이 요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6일 영국 케임브리지대 라훌 로이초두리 교수팀은 암 모델 생쥐 실험을 통해 아스피린이 생쥐에 생긴 암을 다른 장기로 전이되지 못하게 막아주는 새로운 면역 억제 경로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연구팀은 아스피린이 일부 사람들에게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암 전이 예방을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법에 관한 임상 시험이 진행중이라며 아스피린 복용 전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이는 원발성 종양에서 떨어져 있는 장기로 암세포가 퍼지는 것으로, 전 세계 암 사망의 90%가 전이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몸 안에서는 전이를 막으려는 면역체계와 이를 피하려는 암 사이에 싸움이 벌어지는데, 이때 암은 면역체계를 피하기 위해 혈액 응고 인자인 혈소판의 트롬복산A2(TXA2)를 생성, 면역 T세포의 활동을 억제하기도 한다.
연구팀은 이전 암 환자 연구에서 매일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할 경우 유방암, 대장암, 전립선암 등의 전이가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돼 임상시험을 하고 있지만 아스피린의 전이 예방 메커니즘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이번 연구에서 아스피린이 염증 관여 효소인 혈소판의 시클로옥시게나제1(cyclooxygenase 1)을 억제해 TXA2 생성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면역 T세포 억제가 약해지면서 전이 암세포와 싸우는 능력이 향상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유방암, 흑색종, 대장암 등 다양한 암 모델 생쥐에 아스피린을 투여한 결과 아스피린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암세포가 폐나 간 등 다른 장기로 전이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아스피린이 생쥐의 자연 면역 반응을 강화해 암 전이를 예방하는 저렴하고 효과적인 보조 요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향후 아스피린과 다른 면역 요법을 결합하면 항전이 효과를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스피린의 암 재발 예방 효과에 관한 임상시험을 이끄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루스 랭글리 교수는 "임상 시험을 통해 아스피린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사람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아스피린은 일부 사람에게는 출혈이나 위궤양 등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며 "아스피린을 복용하기 전에 어떤 암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밝혀내고 항상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