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
금 가격이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는 이런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단기 차익을 노리기보다는 중장기적 측면에서 금 투자에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11일 백종호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진짜 금값이 된 금, 얼마까지 갈까?'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고금리와 달러 강세 상황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정책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헤지(hedge·위험 분산)' 수요가 유입돼 금값은 온스당 2천900달러대까지 솟았다.
특히 국내 금값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내 정치 불안까지 겹치며 안전자산 선호 경향에 따라 더욱 수요가 몰렸다.
지난달 한국거래소 금 시장에서는 국내 시세가 국제 시세를 사상 처음으로 20% 이상 웃도는 현상이 나타났고, 일반인들이 제테크 차원에서 소액 금을 매입하자 조폐공사와 금 거래소가 골드바 판매를 잠시 중단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다만 이후 국내 금 가격이 급감하면서 현재 국제 금 시세와 큰 차이가 없는 상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 금시장에서 지난 10일 1㎏짜리 금 현물(금 99.99_1㎏)은 1g당 13만9천880원에 거래가 완료됐다. 한국거래소가 금 국제 시세를 원화 가치로 환산한 뒤 g 단위로 공표하는 국제 금 현물 가격은 13만5천970원이었다.
백 연구위원은 "(금값 상승세는) 불확실성 확대에 주로 기인한다"며 "지정학적 위기, 중앙은행의 매수세와 더불어 투기적 자금도 유입됐다"고 봤다. 이어 "트럼프 2.0 시대 도래로 국가별로 미국과의 관계에 따라 금 수요에 대한 전략적 선택이 불가피하다"며 "금 가격의 우상향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금 투자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백 연구의원은 "현재 금 강세 요인이 우세하기는 하지만 금리·달러 전망 등 변수가 남아있는 가운데 최근 투기 수요가 과도해 금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그는 "특히 최근 금 가격은 공급이 제한된 상황에서 중앙은행 수요, 글로벌 투자 심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금 가격이 단기간에 많이 오른 상황에서 단기 차익을 위한 보유보다는 포트폴리오 위험 분산, 중장기 수익률 제고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