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자급률 44% 불과, 한국 어쩌나”…세계 유제품 가격 인상에 국내 ‘비상’

입력 2025-03-16 18:07:01 수정 2025-03-16 18:07:01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최근 세계 유제품 가격이 상승하면서 유제품을 수입해 가공·판매하는 국내 기업들이 가격 인상을 고민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가치 하락)으로 수입 단가까지 오르자 국내 식품기업들의 원가 부담이 가중하고 있다.

16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지난달 세계 유제품 가격 지수는 148.7로, 이는 지난 2022년 10월(149.2) 이후 2년 4개월 만에 최고치다.

가격 지수는 2014∼2016년 평균 가격을 100으로 두고 비교해 나타낸 수치다.

유제품 가격 지수는 2023년 9월 112.0까지 떨어졌다가 수요 증가 등으로 작년 8월부터 매달 높아져 지난달 148.7까지 뛰었다.

지난달 가격 지수는 1년 전과 비교하면 23.2% 높고, 전달보다 4.0% 상승했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우유 생산이 감소한 것이 지난달 유제품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국내 식품기업들은 원료 가격 변동 추이를 주시하면서 제품 가격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우리나라는 유제품 자급률이 44%에 불과해 치즈와 크림 등 많은 유제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수입 유제품의 경우 원제조사의 요청에 따라 가격 조정이 발생한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원/달러 환율은 1,450원 안팎을 기록하면서 유제품 수입 단가도 이전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재료 가격이 지속 상승하고 있고 패키지(포장) 가격과 가공비 등도 전반적으로 올라 제품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대부분의 유제품을 수입하고 있는데 값이 계속 오르고 환율까지 높아서 원가 압박이 크다"며 "가격이 급등한 커피나 코코아를 넣은 유제품의 경우 더 부담스러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5-03-16 18:07:01 수정 2025-03-16 18:07:01

#치즈 , #유제품 , #오세아니아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