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
전반적인 삶의 질을 평가해 주관적으로 행복 점수를 매긴 결과가 발표됐다. 147개국 중 핀란드는 8년 연속 1위를 차지했고, 하마스와 전쟁 중인 이스라엘은 8위, 멕시코는 10위에 올랐고, 한국은 지난해보다 6계단 내려간 58위를 기록했다.
19일(현지시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웰빙 연구센터와 갤럽,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는 '2025년 세계행복보고서'(WHR)를 펴내고 국가별 행복 순위를 발표했다.
1위는 행복 점수 7.736점을 받은 핀란드로, 8년 연속 가장 행복한 국가에 등극했다. 2위는 덴마크(7.521점), 3위 아이슬란드(7.515점), 4위 스웨덴(7.345점)으로 북유럽 국가들이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58위(6.038점)로 작년(52위)보다 6계단 떨어졌다. 지난 조사에서 한국은 2023년 57위, 2022년 59위, 2021년 62위였다.
상위권에는 네덜란드(5위, 7.306점), 노르웨이(7위, 7.262점), 룩셈부르크(9위, 7.122점), 스위스(13위, 6.935점), 벨기에(14위, 6.910점), 아일랜드(15위, 6.889점), 리투아니아(16위, 6.829점), 오스트리아(17위, 6.810점) 등 유럽 국가들이 대거 포진했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전쟁 중임에도 불구하고 8위(7.234점)로 상위권에 올랐다. 코스타리카(6위, 7.234점), 멕시코(10위, 6.979점)는 처음으로 10위 안에 들었다.
미국은 24위(6.728점)로 이 조사가 시작된 2012년 이래 역대 최저 순위로 떨어졌다.
서방 국가들은 2022년~2024년이 2005~2010년보다 전반적으로 덜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 스위스, 캐나다의 행복 점수 하락 폭이 컸다.
147개국 중 최하점을 받은 국가는 아프가니스탄(1.364점)으로 '가장 불행한 국가'라는 불명예를 얻게 됐다. 아프가니스탄은 2020년 탈레반 집권 후 여성 인권 하락 등 인도주의 위기를 겪고 있다.
3년 넘게 전쟁을 이어 온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경우 각각 66위(5.945 점), 111위(4.680점)에 그쳤다.
올해 연구진은 배려와 나눔이 사람들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두고 조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타인의 친절에 대한 믿음이 통념보다 행복과 훨씬 더 긴밀히 연결돼 있음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아울러 타인과 함께 자주 식사하는 사람이 더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홀로 식사하는 사람들의 증가는 미국에서 행복지수가 떨어지는 이유 중 하나이며 동아시아 국가,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 1인 가구 증가와 인구 고령화로 혼자 밥 먹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