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 본 뉴스

Popular News

테니스엘보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이 질환'

입력 2025-03-25 17:26:21 수정 2025-03-25 17:26:21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셔터스톡


테니스엘보인 줄 알고 내원했다가 경추 신경병증이라는 진단을 받는 경우가 있다.


경추에 퇴행성 변화, 추간판 탈출증, 외상 등으로 신경이 압박을 받으면 경추 신경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로 인해 목덜미, 견갑부 통증은 물론 압박된 위치에 따라 어깨, 팔꿈치, 손목 등에서 통증, 저림, 근력 저하, 감각 이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과도한 사용으로 발생하는 테니스엘보는 통증이 팔꿈치 외측 부위에 국한되는 반면 경추 신경병증은 발생 부위에서 다른 부위로 통증이 퍼지는 방사통이 특징이며, 통증뿐만 아니라 저림, 힘 빠짐, 마비 등의 감각 이상이 동반될 수 있다. 심한 경우 젓가락질, 단추 잠그기 같은 미세한 동작이 힘들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거나 걸음걸이가 이상해질 수 있다.

안준영 대동병원 척추센터 과장(신경외과 전문의)은 "어깨나 팔꿈치 통증은 종종 경추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라며 "몸에 이상 반응이 나타나면 자가 진단하기보다는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본인의 몸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

환자의 증상과 병력을 확인한 후 골격구조, 추간판 탈출, 척추관 협착 등을 확인하기 위해 X-RAY, CT, MRI 등 영상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질환의 정도에 따라 약물치료, 물리치료, 보조기 착용, 주사 치료 등을 진행하며 증상이 심하거나 보존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 신경 압박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경추 건강을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너무 낮거나 높은 베개는 경추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자연스러운 곡선을 지원하는 베개와 매트리스를 선택해 편안한 수면 환경을 갖추도록 한다. 컴퓨터 작업이나 스마트폰 사용 시 목을 숙이지 않고 눈높이에 맞춰서 하도록 하며 장시간 사용을 피하고 주기적으로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목에 부담을 주는 활동은 피하고, 평소 목과 어깨를 강화하는 운동 및 스트레칭을 규칙적으로 실시하도록 한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입력 2025-03-25 17:26:21 수정 2025-03-25 17:26:21

#경추 신경병증 , #팔꿈치 통증 , #경추 질환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