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
최근 '퍼프린젠스균'에 의해 식중독에 걸리는 환자가 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퍼프린젠스균은 100도 이상에 끓는 물에 넣어도 다시 증식할 정도 열에 강한 식중독균이다. 주로 오염된 육류를 섭취할 때 발생한다.
특히 3~5월 봄철에 기온이 오르면서 더욱 기승을 부리는데, 집단급식소나 음식점에서도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세균은 소장에서 독소를 방출해 설사를 유발한다. 음식 섭취 후 6~24시간 이내에 복통과 설사, 구토 등 증상을 일으키며 24시간 이내에 회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1주일 이상 증상이 이어지면 병원에 가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배달 음식으로 인한 퍼프린젠스 식중독 환자가 크게 늘었다.. 이들은 2022년 264명에서 2023년 106명으로 줄었다가, 2024년 452명까지 급증했다.
퍼프린젠스균 감염을 예방하려면 고기를 상온에 오래 두지 않는 등 음식 조리와 보관을 적절히 해야 하며, 가열 조리된 음식도 섭취하기 전 한 번 더 가열하는 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봄철에는 기온차가 크기 때문에 낮에 퍼프린젠스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기 된다. 따라서 음식은 바깥에 놓지 말고 반드시 냉장고에 보관해야 한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