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Life & Culture

헌재 일대 부상자 0명...150m '진공작전' 빛 발했다

입력 2025-04-04 20:14:14 수정 2025-04-04 20:14:14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헌법재판소 주변 막은 경찰차벽 /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이 선고된 4일 우려와 달리 헌법재판소 일대에 극단적 폭력 행위가 발생하지 않았다. 헌법재판소 반경 150m를 차벽으로 막아 '진공상태'로 만든 경찰의 작전이 효과를 봤다는 평가가 나온다.

경찰과 소방 당국에 따르면 이날 서울 종로 일대에서 집계된 부상자는 2명이나 모두 길을 걷다 넘어져 현장 처치를 받은 이들로, 집회로 인한 부상자는 사실상 없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당시 벌어진 시위에서 극도로 흥분한 지지자들이 경찰 버스까지 탈취해 결국 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던 사례와 대조된다.

현행범 체포도 1명으로 집계됐는데, 헬멧과 방독면 등을 쓴 남성이 안국역 5번 출구 앞에 세워진 경찰버스 유리창을 곤봉으로 깨다가 체포된 것이 유일했다.

이외에도 만취한 지지자나 일부 유튜버 등이 취재진을 향해 욕설하며 달려들고 차로에 뛰어드는 등 돌발 행동을 했지만, 이는 대기하던 경찰이 즉각 이격 조치해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경찰은 이날 경찰력을 100% 동원할 수 있는 최고 단계 비상 체제인 '갑호비상'을 발령하고 전국에 기동대 338개 부대 2만여 명을 배치했다. 서울 지역에는 210개 부대 약 1만4천명을 투입했다.

8년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도 '갑호비상'이 발령됐고 서울 도심 일대에 271개 부대 2만1천600여명이 투입됐지만 극심한 혼란을 겪었던 것을 고려하면, 이번 '진공작전'이 유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경찰은 탄핵심판 선고 이틀 전 헌재 반경 150m를 차벽으로 둘러싸 진공상태로 만드는 작업을 완료했다. 또 안국역 1번·6번 출구, 수운회관과 운현궁, 현대 계동사옥, 재동초교 인근 양방향 도로는 모두 차량 통행이 통제됐고, 시위자들의 접근도 철저히 차단됐다.

종로·중구 일대는 특별범죄예방강화구역으로 설정돼 8개 구역으로 나뉘었고, 경찰서장 8명이 각 구역 '책임서장'을 맡았다. 여기에 경찰 기동대와 별도로 기동순찰대, 지역경찰, 교통경찰, 형사, 대화경찰 등 1천500여명이 배치됐으며 헌재 인근에는 경찰특공대가 투입됐고 기동대도 캡사이신과 장봉 등을 갖췄다.

박헌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는 탄핵심판 선고 당일 "어떠한 불법행위도 용납하지 않겠다"며 경고 메시지를 냈다. 결국 시위자들이 폭력 행위에 가담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고 엄중 대처를 예고하면서 반발 강도도 자연스럽게 약해진 것으로 보인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5-04-04 20:14:14 수정 2025-04-04 20:14:14

#헌법재판소 , #진공작전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