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유아기에 사교육을 경험해도 아이의 언어·문제해결 능력과 향후 학업 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히려 사교육에 많이 참여한 아이는 자존감에 부정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김은영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교육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영유아 사교육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을 통해 이런 내용의 실증 연구 결과를 알린다.
김 위원이 연구책임을 맡은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과 발달에 관한 연구'에 결과를 보면 사교육 경험은 단기적으로 언어능력이나 어휘력과 상관이 없고, 영향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이의 문제해결 능력과도 별 상관성이 없었다. 다만 예술 사교육에 참여한 아동은 예방책 능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사교육 경험은 성실성, 자존감, 개방성, 타인 이해 등 정서·행동 특성과도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학습 사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많을수록 자존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영유아기 사교육은 초등학교 진학 시 학업 수행 능력에도 별 효과를 내지 못했다. 자아 존중감이나 삶의 만족도와 관련해서도 유의미한 영향은 없었고, 오히려 일부 아이들에게 부정적 효과를 일으켰다.
연구진은 "아동의 지능지수와 가구 소득, 부모 학력 등 다양한 변수를 통제해도 사교육의 독립적 효과는 미미했다"며 "이는 사교육 효과가 과대 평가됐을 가능성과 함께 아동 발달에 사교육 외 다른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과도한 사교육은 놀이와 휴식 시간을 감소시켜 오히려 아동의 전인적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