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미국도 급했나...'아이 낳으면 5천달러', 저출산 대책 나왔다

입력 2025-04-22 09:39:50 수정 2025-04-22 09:39:50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합계출산율이 한국보다 2배 이상 높은 미국도 저출산 대책 마련을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1일(현지시간) 미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날 NYT는 백악관 참모들이 각종 단체로부터 출산율 개선을 위한 정책 제안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참모들이 받은 제안 중 하나는 정부가 후원하는 장학 제도인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의 전체 장학금 중 30%를 결혼했거나 자녀가 있는 지원자에게 할당하는 방안이다. 또 아이를 낳은 모든 산모에게 5천달러(약 700만원)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베이비 보너스' 제도도 나왔다.

여성이 임신이 가능한 시기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월경주기에 대해 교육하는 프로그램에 정부 예산을 투입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트럼프 행정부 당국자들이 실제 이런 저출산 대책을 시행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다만 J.D 밴스 부통령과 일론 머스크 등 행정부 인사들이 저출산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트럼프 대통령도 이를 주요 의제로 다룰 가능성이 있다고 NYT는 설명했다.

지난달 26일 백악관에서 열린 '여성 역사의 달' 기념행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체외인공수정(IVF·시험관) 지원 정책을 소개했다. 그는 자신이 "수정(fertilization) 대통령"이라고 말했다.

숀 더피 교통부 장관은 출산율과 혼인율이 국가 평균보다 높은 지역에 교통 예산을 우선 배정하겠다고 했다. 그는 10명의 형제자매가 있고 9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통계 전문기구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미국의 합계 출산율(여성 1명이 가임기간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1.62명으로 0.72명인 한국의 2배가 넘는다.

그러나 지난 몇 년 동안 미국에서는 인구 고령화와 사회안전망 지탱을 위해 2007년부터 하락 중인 출산율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인식이 강해졌다.

이에 따라 출산율을 높이려는 단체들의 움직임이 더 활발해졌다.

기독교 보수주의자들은 정치와 대중매체가 전통적인 가족을 폄하하고 여성의 직업을 자녀 돌봄보다 우선하도록 장려한 탓에 출산율·혼인율이 감소했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결혼과 대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통적인 성별 역할, 구조에 맞지 않는 가족은 '가족'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반면 '출산 촉진론자'(pronatalist)들은 생식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아이를 많이 낳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이들 다수는 IVF를 통해 여러 자녀를 얻은 머스크처럼 IVF를 강력하게 지지한다.

그러나 낙태에 반대하는 기독교 보수주의자 다수는 IVF 시술 과정에서 인간 배아를 잃을 수 있다는 이유 등으로 IVF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인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5-04-22 09:39:50 수정 2025-04-22 09:39:50

#미국 , #저출산 , #백악관 , #트럼프 , #결혼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