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OECD 평균 41.0%인데 한국은 3.9%..."비혼 출산 제도 만들겠다"

입력 2025-05-08 13:44:11 수정 2025-05-08 14:38:02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이 "결혼하지 않고도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 가겠다"며 '비혼 출산'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이 차관은 어버이날인 8일 오전 YTN 라디오에서 비혼 출산과 관련한 질문에 이같이 답하며 관련 제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평균 비혼출산율은 41.0%로, 나라별로는 프랑스(65.2%), 스웨덴(57.8%), 영국(51.4%), 미국(39.8%) 순으로 높았다. 같은 해 우리나라의 비혼출산율은 3.9%였고, 2023년에는 소폭 상승한 4.7%를 기록했다.

이 차관은 "우리나라 사람들은 결혼해야만 아이를 낳는다. 그런 점에서 지난해 혼인 건수가 많아져 합계출산율도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월 출생아는 2만35명으로, 1년 전에 비해 622명(3.2%) 늘었다. 혼인 건수는 1년 전보다 14.3% 늘어난 1만9천370건으로 집계됐다.

이 차관은 "저출산 문제는 복지부뿐만 아니라 전체 정부 부처, 우리나라 전체의 현안"이라면서 저출산 해결책의 하나로 결혼하지 않고 출산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도 비혼 출산이 많아져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며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아이를 낳고 키우려고 한다면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을 많이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5-05-08 13:44:11 수정 2025-05-08 14:38:02

#복지부 , #비혼출산 , #저출산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