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열담배는 덜 해롭다는 착각..."대사질환 위험 3배 이상 ↑"
전자담배 중 '궐련형'은 연초의 잎을 고열로 찔 때 나오는 니코틴 증기를 빨아들이는 방식으로 '가열 담배'라고도 불린다. 다른 방식인 '액상형'은 니코틴 용액을 사용한다.잎을 직접 찌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가열 담배(궐련형)는 건강에 덜 위험하다는 편견이 있지만, 전문가들은 가열 담배의 유해성이 일반 담배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다고 지적한다.지난해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에서 일반담배의 현재 흡연율은 전년보다 1.4%포인트 줄어든 18.9%를 기록했다. 반면 전자담배 사용률은 8.7%로 전년 대비 0.6%포인트 늘었다.전자담배 중에서도 가열 담배의 사용률 증가세는 뚜렷하다. 2023년 기준 가열 담배 판매량 비중은 16.9%로, 2017년 2.2%에서 6년 만에 8배 가까이 늘어났다.이처럼 가열 담배 소비가 급증한 데는 기존 담배와 유사한 흡연 효과를 주면서도 건강 위험이 비교적 적다는 담배 회사의 마케팅 전략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런 생각이 건강상 이점에 대한 오해라고 지적한다. 가열 담배의 건강 위해성은 일반 담배와 견주어 비슷한 수준이거나 오히려 더 높다는 것이다.15일 미국 콜로라도대 공중보건대학원, 아주대의료원, 이대서울병원 공동연구팀은 한국의학연구소(KMI)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17만8천4명을 대상으로 1년 이상 추적 조사한 결과 가열 담배가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을 높이는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밝혔다.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 고혈당, 이상지질혈증 등의 만성질환이 한꺼번에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를 방치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심뇌혈관질환과 당뇨병 발생 위험을 크게 높인다는
2025-01-15 17: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