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예방하는 '이 식단', 쥐에게 먹였더니 놀라운 결과
건강식으로 알려진 지중해식 식단이 쥐 동물모델 실험에서 장내 박테리아 균형을 변화시켜 기억력과 인지 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6일 미국 툴레인대학 데메트리우스 M. 마라가노어 교수팀은 쥐에게 일반적 서양식 식단과 지중해식 식단 먹이를 준 다음, 장내 미생물과 인지 기능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를 진행해 이런 연관성을 알아냈다고 밝혔다.연구팀은 태어난 지 10주 된 어린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14주간 한 그룹에는 올리브기름, 생선, 섬유질이 풍부한 지중해식 식단을 먹였고, 다른 그룹에는 포화 지방이 많은 서양식 식단을 먹였다. 이후 두 그룹의 장내 미생물과 기억력·인지력 변화를 확인했다.그 결과 지중해식 식단을 먹은 쥐는 서양식 식단을 먹은 쥐에 비해 유익한 장내 세균 4종이 증가하고 다른 5종은 감소했다. 또 이런 장내 미생물 군집 변화는 쥐들의 기억력과 학습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해 고안된 미로 과제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쳤다.특히 칸디다투스 사카리모나스(Candidatus Saccharimonas) 같은 박테리아 수치가 높을수록 인지 능력이 올라갔지만,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같은 다른 박테리아는 수치가 높을수록 기억 능력이 감소했다.또 지중해식 식단 그룹은 서양식 식단 그룹에 비해 새로운 정보에 적응하는 능력인 인지 유연성이 향상되고 작업 기억력이 개선됐다.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 지단백(LDL) 콜레스테롤 수치도 더 낮게 유지됐다.마라가노어 교수는 "이 결과는 동물 연구지만 지중해식 식단이 기억력 개선 및 치매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인간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며 "이는 지중해식 식단이 청소년 학업 또는 성
2025-01-06 16:51:32
'단짠단짠'만큼 맛있는 '삼삼한 건강밥상', 어떻게 차릴까?
삼삼하다.사전적 의미는 ‘음식 맛이 조금 싱거운 듯하면서 맛이 있다’로 해석된다. 다시 말해, ‘삼삼한 밥상’은 두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싱거우면서도 맛이 있어야 하는 것. '단짠단짠', '맵부심' 등 자극적인 맛이 환영을 받는 식탁에서 건강과 맛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키워드, '삼삼하다'.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우리 몸이 원하는 삼삼한 밥상' 10주년 기념 특별판을 발간했다. 식약처는 가정에서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나트륨과 당류를 줄인 삼삼하고 맛있는 밥상 메뉴를 국민에게 전한다. 식약처는 저당 및 저염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한 조리법을 제공하기 위해 ‘우리 몸이 원하는 삼삼한 밥상’ 요리 책자를 지난 2012년부터 매년 발간해 왔으며, 올해 발간 열 번째를 맞아 10주년 기념으로 마련했다.특별판에는 2021년 나트륨?당류 저감요리 경연대회에서 선정된 40개의 캠핑요리 메뉴와 지난 1~9권에 수록된 메뉴 중 20개의 인기 요리 메뉴를 선정해 담았다.또한 ▲재료 준비와 조리과정 ▲나트륨·당류를 줄이는 조리요령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나트륨 등 메뉴별 영양성분 분석 자료 ▲메뉴 조합을 통한 한 끼 식사 추천 등이 내용에 포함됐다. 삼삼한 밥상 메뉴로 반찬, 국, 찌개 등 나트륨을 줄인 조리법 1153개, 당류를 줄인 조리법 130개, 오감만족 건강조리법 9개가 있으며, 메뉴명 또는 조리법 유형별로 누구나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2-04-21 13:2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