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없는 남자, 눈 높은 여자" 결혼 못하는 男女, 이유 물어보니...
미혼 남녀가 결혼을 망설이는 가장 큰 이유는 남성의 경우 '결혼 비용 부담', 여성은 '기대에 맞는 상대가 없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인구보건복지협회는 지난해 10월 전국 20~44세 2000명(미혼·기혼 남녀 각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제2차 국민인구행태조사(2024)' 보고서를 14일 발표했다.보고서에 따르면 미혼남녀(20~44세) 가운데 남성 58.5%, 여성 44.6%는 '결혼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결혼을 망설이고 있거나 결혼할 의향이 없다고 답한 남녀는 각각 41.5%, 55.4%였다.이유를 물어본 결과 남성은 '결혼생활 비용 부담이 커서'(25.4%)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독신생활이 좋아서'(19.3%), '결혼보다는 내가 하는 일에 더 충실하고 싶어서'(12.9%), '기대에 맞는 상대가 없어서'(12.1%)라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여성은 '기대에 맞는 상대가 없어서'(19.5%)가 가장 큰 이유였고, '독신생활이 좋아서'(17.0%), '결혼보다 내가 하는 일에 더 충실하고 싶어서'(15.5%), '가부장적 가족 문화, 관계가 싫음'(12.3%), '결혼생활 비용 부담'(11.6%) 순으로 많았다.이 같은 결과에 대해 연구원은 "남녀 모두 독신 생활 선호와 커리어 중시를 이유로 결혼을 기피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며 "청년은 개인의 자유로운 삶을 보다 중시하고, 한국 여성들의 일 지향성이 높다는 선행연구와도 일치한다"고 설명했다.또 "남성은 경제적 부담, 여성은 커리어 저해와 문화적 억압을 주된 이유로 꼽았다"며 "결혼 선택의 중요성이 약화하고 개인의 가치관과 삶의 방식이 더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한편 여성의 경우 학력
2025-04-14 17:00:46
'억' 소리나는 결혼비용, 매년 '이만큼' 증가했다
대한민국 신혼부부들의 결혼 비용은 평균 2억원 이상으로 매년 1000만원씩 증가하고 있었다.15일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는 '대한민국 금융소비자 보고서 2025'를 통해 이 같은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보고서에는 최근 3년간 금융소비자의 거래 변화를 확인하고 시의적 이슈에 대한 의견을 점검한 내용이 담겼다. 설문 대상은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20~64세 금융소비자 5000명이다.최근 3년 내 결혼한 신혼부부가 사용한 결혼 비용은 약 2억원이었다. 결혼 예정자는 2억3000만원가량을 예상해 매년 비용이 약 1000만원씩 늘어났다. 신혼부부의 절반 이상은 대출로 결혼자금을 충당했고, 결혼 예정자는 더 많은 대출을 고려하고 있어 결혼이 주는 경제적 부담이 증가했다.미혼인 사람 중 결혼 의향자는 27%, 비의향자는 33%로 혼인하지 않겠다는 이들이 더 많았다. 비혼 이유로는 '경제적 여건'이 가장 컸다.결혼의향자는 주택 자금과 투자 종잣돈 마련 등 목적형 저축 의향이 높았고, 적금과 주식, 상장지수펀드(ETF) 등 직접투자에 적극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비혼자의 관심사는 노후 대비였다. 이들은 보험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했고, 여가와 취미생활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 저축했다.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2년 저축성 자산이 금융자산의 42%를 차지했고, 다음 해 금리 상승과 함께 45%까지 비율이 높아졌다. 당시 평균 금융자산은 9000만원 선에 머물러 있었지만 엔데믹 후 2024년 1억원을 넘어섰고, 투자상품 비중은 2022년 25%에서 다음 해 31%까지 올랐다.기혼 10가구 중 9가구는 노후 준비를 못 했거나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기혼 가구의 평균 자산은 약 7억원으로, 은퇴할 때까지 축적할 금액은 2억원 이상
2025-01-15 13:0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