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급 브레이크', 고령운전자가 1초 느렸다...사고 줄일 방법은?
앞 차량이 갑자기 멈추는 등 돌발상황 발생 시 고령 운전자의 반응시간이 비고령자에 비해 1초 이상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령자는 비고령자보다 교통사고를 낼 위험이 높다는 점을 스스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10일 한국소비자원은 고령·비고령 운전자 34명을 대상으로 시내 도로 주행 시뮬레이션 시험을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소비자원에 따르면 선행 차량이 급정거했을 때 브레이크를 밟기까지 걸린 시간은 비고령 운전자의 경우 3.09초였지만, 고령자는 3.56초로 0.47초 늦었다.또 불법주차 차량으로 시야가 좁아진 상태에서 횡단보도에 갑자기 어린이가 나왔을 때는 고령자(2.28초)의 반응 속도가 비고령자(1.20초)보다 1.08초 늦었다.통상 시속 50㎞로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1초 늦게 밟으면 약 14m를 더 가게 된다. 그만큼 교통사고가 발생할 위험도 커진다.고령 운전자 자신도 교통사고를 유발할 위험이 크다는 점을 잘 인식하고 있었다.소비자원이 고령 운전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를 보면 182명(60.7%)은 비고령자보다 교통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더 크다고 답했다.그 이유(중복응답)로는 '판단력이나 반응속도 저하'가 174명(95.6%)으로 가장 많았고, '시력 저하'(132명·72.5%), '운동신경 저하'(120명·65.9%), '지속적인 약물 복용 경험'(18명·9.9%) 순으로 많았다.사고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첨단 운전자보조시스템이 있는 고령자용 보조 차량 도입'(188명·62.7%)이 가장 많이 꼽혔다.우리나라는 지난 2023년 1월 시행된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고령 운전자 차량에 비
2025-04-10 17:55:33
75세 이상 고령운전자, ‘VR’로 돌발상황 테스트한다 “못 하면 면허 자진 반납”
75세 이상 고령 운전자의 면허 갱신을 위한 적성검사에 가상현실(VR)을 통한 자가진단 평가가 도입된다.12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5년 국가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실행계획'에 이 같은 내용이 담겼다.관계부처에 따르면 경찰청은 올해 말까지 75세 이상 고령 운전자의 운전면허 정기 적성검사에 운전자 스스로 자신의 운전 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자가진단 시스템을 시범 도입할 예정이다.이는 VR을 활용해 운전자에게 실제 운전환경과 비슷한 가상현실 환경을 제공하고, 비보호 좌회전, 코너링 때 일어날 수 있는 돌발상황 등에 얼마나 잘 대처하는지 스스로 평가하도록 돕는 시스템이다.경찰청은 자가 진단에 참여한 고령 운전자가 운전능력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확인되면, 운전면허 자진 반납 유도 등 컨설팅을 제공할 방침이다.경찰청 관계자는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가 잇따르고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만큼 이 같은 자가진단 시스템을 도입하게 됐다"며 "시범 운영결과를 보고서 시스템 도입 확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5-02-12 14:17:21
70세 이상 고령운전자 면허 반납하면 10만원 충전 교통 카드 지급
서울시가 서울경찰청, 도로교통공단, 티머니복지재단과 손잡고 운전면허를 반납한 70세 이상 어르신 1000명에게 10만원이 충전된 교통카드를 제공한다. 이 사업에 사용될 교통카드는 선불교통카드를 충전한 후 5년 이상 사용하지 않은 장기미사용 충전선수금 등 (재)티머니 복지재단 기금에서 1억원을 활용해 만들어진다. 교통카드 제공 대상은 올해 1월 1일 이후 운전면허를 자진 반납해 면허가 실효된 서울 거주 70세 이상(1949년12월31일 이전 ...
2019-03-14 14:2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