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10명 중 2명은 '과의존 위험군'
지난해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 위험 청소년·유·아동의 비율은 약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디지털 정보격차·웹 접근성·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 위험군(고위험군 및 잠재적 위험군)의 비율은 22.9%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줄었다.연령대별로 보면 청소년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42.6%로 전년 대비 2.5%포인트 늘었고 유아·아동층 비율도 25.9%로 0.9%포인트 증가했다.반면, 성인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22.4%, 60대 11.9%로 전년 대비 각각 0.3%포인트, 1.6%포인트 줄었다.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고위험군과 잠재적 위험군을 포함한다. 고위험군 비율은 60대를 제외한 타 연령층에서 2022∼2024년 전반적으로 변화가 없었던 데 반해 60대는 2022년과 2023년 3.0∼3.1%에서 지난해 3.7%로 증가했다.한편, 지난해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평균 77.5%로 재작년보다 0.6%포인트 개선됐고 장애인·고령자 등의 웹사이트의 접근성 수준은 66.7점으로 0.9점 상승했다.이번 조사는 17개 시도 1만 가구를 대상으로 1대1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3-27 13:30:33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중학생이 가장 심해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 중 중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5일 여성가족부가 낸 '2024년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참여 청소년 124만9317명 중 22만1029명이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전년 같은 조사 때(23만634명)보다 9605명(4.16%) 감소했다.과의존 위험군은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어 전문기관의 도움이 필요한 수준인 '위험사용자군'과 사용시간이 늘어나 자기조절에 어려움을 겪어 주의가 필요한 '주의사용자군'으로 나눌 수 있다.과의존 위험군 22만1029명 중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은 17만4374명,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12만7845명이었다. 이중 인터넷과 스마트폰 모두 과의존 위험군에 속하는 청소년은 8만1190명에 달했다.과의존 위험군을 학년별로 보면 중학생(8만9812명·40.6%), 고등학생(7만3136명·33.0%), 초등학생(5만8081명·26.2%) 순으로 많았다.남학생이 11만9301명으로 전년보다 4885명 감소했고, 여학생은 10만1728명으로 마찬가지로 4720명 줄었다.인터넷 과의존 위험군은 남자 중학생이 3만7418명으로 가장 많았다.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여자 중학생이 2만6533명으로 가장 많아 중학생에게서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이 두드러졌다.초등 1학년 보호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습관 관찰조사'를 실시한 결과 정해진 이용시간을 준수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시력·자세 등에 좋지 못한 영향이 있어 지도가 필요한 '스마트폰 관심군' 학생은 1만6942명으로 파악됐다.여가부는 보호자가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경우 청소년의 미디
2024-07-25 14:22:14
세제 구입 시 나뭇잎 개수 확인하세요
내년부터 세제에 함유된 물질의 유해성을 '나뭇잎 개수'로 쉽게 표현한다. 정부는 28일 제3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생활화학제품 자율 안전 정보 공개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하여 안전성 정보를 공개해야 하는 '안전 확인 대상 생활화학제품'을 2027년 50개 품목으로 현재보다 7개 늘리기로 했다.또 안전성 평가 화학물질은 올해 3000개로 현재(2220개)보다 확대하고, 이를 위해 유사물질 독성정보를 활용하기로 했다.전체 성분 중 '유해 우려가 없는 물질', '유해 우려가 낮은 물질', '용도·제형에 따라 사용이 가능한 물질', '안전한 원료' 등이 각각 몇 퍼센트인지 표시하고 성분별 유해성 정도를 나뭇잎 개수로 4단계로 나눠 나타내기로 했다.또한 생활화학제품 사용상 주의사항을 픽토그램으로 표시하기로도 했다.정부는 이번 방안과 관련해 올해 11월까지 매뉴얼을 마련한 뒤 내년에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3~4월 방향·탈취군과 세정·세탁군 등 제품군별 참여기업을 모집한 뒤 5~8월 각 제품의 성분과 함유량을 확인하고 8~9월 유해성 등급을 확인한다. 등급은 10~11월 공개할 계획이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3-28 14:0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