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려도 못 잔다" 근로자 3분의 1은 '수면장애'...왜?
야근 교대 근무자의 절반 이상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수면장애를 겪는다는 연구 결과가 등장했다. 네덜란드 정신 건강 연구소의 행동·사회과학 교수 연구팀이 근로자 3만7천여 명을 대상으로 근로 패턴과 수면 습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9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 근로자에게 ▲불면증 ▲수면과다 ▲사건 수면(몽유병, 악몽 등) ▲수면 관련 호흡장애 ▲수면 관련 운동장애 ▲수면·각성 장애 등 6가지 유형의 수면장애를 겪는지 물었다. 전체 근로자의 약 3분의 1이 최소한 한 가지, 13%는 2가지 이상 수면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응답했다. 전체적으로 낮 시간대의 정규 교대 근무자보다 야근 교대 근무자와 정규 야근 근무자들이 수면장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유형별로 보면 규칙적으로 야근 교대 근무를 하는 사람이 수면장애가 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의 절반 이상인 51%는 한 가지, 26%는 두 가지 이상 수면장애를 앓고 있었다. 남성 근로자는 여성 근로자보다 수면 시간이 짧았지만, 수면장애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연령도 관계가 있었다. 나이가 많은 사람은 수면 시간이 짧았는데, 수면장애는 30세 이하 근로자에게 더 많이 나타났다. 야근 교대 근무자들은 낮 시간대에 집중된 삶의 환경과 동기화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야근의 부정적 결과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이 연구 결과는 '첨단 정신의학'(Frontiers in Psychiatry) 최신호에 게재됐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3-12-11 15:59:31
잠 못자는 교대근무, 잘 자는 직장인보다 'OOO' 위험 높다
수면 부족에 시달리는 교대 근무자가 우울증을 겪을 확률이 적정 수면(6~8시간)을 취하는 주간근무자들보다 최대 3배 이상 높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근무 형태와 수면 시간이 우울증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중장년기는 연관성이 더욱 커 생애주기별 근무 형태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8일 대한보건연구에 게재된 '근로자의 수면시간과 근무형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연구진은 제6기(2014년), 제7기(2016년, 2018년), 제8기(2020년) 질병관리청이 수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 근로자 1만3천191명의 답변을 토대로 이같이 분석했다.0∼27점으로 측정되는 우울증 심각도가 10점 이상이거나, 우울증 치료중인 경우를 우울군으로 설정하고 6시간을 적정 수면 시간으로, 주간(오전 6시∼오후 6시) 근무자를 제외한 저녁·밤·24시간 교대·분할·불규칙 교대 근무자는 '교대 근무자'로 정의했다.이번 분석에서 1만3천191명 중 601명(4.36%)이 우울군으로 분류됐으며, 이들의 수면과 근무 형태를 조합해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수면 부족 교대 근무군은 적정 수면 주간 근무군보다 우울증을 겪는 경우가 약 2.3배였다.이를 연령별, 근무형태별로 세분화해보면 30대 중 교대 근무를 하면서 수면이 부족한 사람이 우울감을 느끼는 비율은 주간 근무를 하면서 적절 수면을 하는 사람의 3.9배에 달했다.주간 근무자를 기준으로 보면 30대와 40대 모두 수면이 부족한 사람의 우울 비율은 적정 시간 자는 사람보다 각각 3.7배, 3.6배인 것으로 분석돼 잠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50대 역시 수면이 부족한 주간 근무군과 교대 근무군의 우울
2023-01-09 09:4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