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서 레서판다 받고 한국 천연기념물 00 보낸다…4월 중 일본行
한국의 천연기념물인 수달이 일본으로 간다.27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자연유산위원회는 최근 열린 회의에서 서울대공원이 수달 1쌍을 일본으로 수출할 수 있도록 허가해달라고 낸 신청 안건을 검토해 가결했다.이에 따라 암컷과 수컷 수달 2마리가 이르면 4월 일본으로 가게 된다. 수컷은 2018년 7월, 암컷은 2023년 6월에 태어나 서울대공원 동물원에서 살고 있다. 앞서 서울대공원은 지난해 수달을 일본으로 보내려 했으나 무산된 바 있다. 서울대공원은 일본 타마동물원과 수달과 레서판다를 서로 기증하기로 하고, 2023년 말 레서판다 암·수 1쌍을 국내로 데려왔으나, 수달의 수출 허가가 나지 않았다.당시 문화재위원회 산하 천연기념물 분과(자연유산위원회의 전신)는 '한국 최초의 천연기념물 수출' 사례가 된다는 점을 들어 관리 계획을 철저히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이후 서울대공원 측은 수달을 보내기 위한 계획을 보완한 것으로 전해졌다.머리는 납작하고 둥근 형태를 띠며 주로 하천이나 호숫가에서 사는 수달은 야행성 동물로 낮에는 휴식을 취하고 위험에 처하면 물속으로 들어가는데 눈과 귀가 잘 발달해있다.일본에서는 2012년 멸종된 것으로 공식 선언한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희귀종으로 여겨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현행법에 따라 천연기념물은 원칙적으로 수출하거나 반출할 수 없다. 다만, '특정한 시설에서 연구 또는 관람 목적으로 증식된' 천연기념물은 국가유산청장의 허가를 받아 수출할 수 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1-27 10:38:17
내달부터 국보 '근정전' 관람 일부 제한, 왜?
국보 223호 근정전 관람이 다음 달부터 일부 제한된다.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2일 "올해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근정전 월대(건물 앞에 두는 섬돌) 출입을 제한한다"고 밝혔다. 이에 두 달 동안 관람객들은 근정전 월대 위로 오를 수 없다.기존에는 월대 위에 올라 자유롭게 내부를 둘러볼 수 있었으나, 다음 달부터는 박석(얇고 넓적한 돌)이 깔린 근정전 마당에서 관람해야 한다.궁능유적본부 관계자는 "성수기 많은 관람객으로 인해 근정전 돌난간 등 석조물의 손상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관람객의 안전을 고려해 내린 조치"라고 설명했다.월대는 경복궁 근정전, 창덕궁 인정전 등 궁궐의 주요 건물에 설치된 넓은 기단 형태의 부분이다.건물의 위엄을 높이거나 각종 행사가 펼쳐지는 무대 기능을 한 것으로 전한다.조선 궁궐 가운데 가장 중심이 되는 법궁(임금이 사는 궁궐)인 경복궁 근정전에 조성한 월대는 상하 2중 형태에, 다양한 동물 조각상이 장식된 점이 특징이다.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포털 설명에 따르면 근정전 월대에는 36개의 동물상이 있으며, 임금의 공간에 사악한 기운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지키는 역할을 한다.궁능유적본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경복궁·창덕궁·창경궁·덕수궁 등 4대 궁과 종묘를 찾은 관람객은 총 655만7307명으로, 지난해 상반기(534만5218명)보다 약 22.7% 증가했다.이 가운데 경복궁을 찾은 사람은 총 321만1876명으로 절반 가까이 차지한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8-02 15:25:42
'왕의 약국' 창덕궁 약방 열린다..."시원한 제호탕 한 잔 하세요"
이달 17일부터 창덕궁 약방이 대중에게 공개된다.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이달 17일부터 8월 18일까지 매주 수~일요일에 창덕궁 약방을 개방한다고 12일 밝혔다. 내약방 또는 내의원으로 불리던 창덕궁 약방은 백성을 치료하는 기관인 혜민서, 왕실이 쓰는 약재를 관장하던 전의감과 함께 조선을 대표하는 의료기관이다.창덕궁 궐내각사 근처에 있는 약방은 2005년 복원을 마친 후 전시·행사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이곳을 찾은 관람객들은 약재를 넣어 보관하는 약장, 약탕 조제 도구 등을 살펴보고 제호탕, 오미자 음료도 시음할 수 있다.제호탕은 매실을 익힌 오매(烏梅), 사인(砂仁), 초과(草果) 등을 넣어 만든 음료로, 더위와 열을 식히고 갈증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음료 제공은 오후 1시부터 시작된다. 또 매주 금·토요일에는 약초를 활용한 향주머니를 만들기 체험도 열린다.창덕궁에 방문하는 사람은 누구나 약방 안을 자유롭게 둘러볼 수 있다. 외국인 관람객은 한국한의학연구원 동의보감사업단에서 기증한 다국어 소책자를 보며 약방을 둘러볼 수 있다.창덕궁관리소 관계자는 "폭염을 피해 잠시 쉬어가면서 궁중문화를 직·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4-07-12 12:35:38
조선왕릉·4대궁 등 문화유산 무료 개방…언제까지?
어제(15일)부터 돌아오는 주말까지 전국 76곳의 국가유산이 무료로 개방된다.문화재청은 오는 17일 ‘국가유산청’ 출범을 기념하며 19일까지 4대궁, 종묘, 조선왕릉을 비롯해 서울 암사동 유적, 제주 성산일출봉 등 전국의 국가유산 54곳을 포함, 총 76곳의 유료 관람 국가유산을 무료로 개방하고 연계 행사도 운영한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4대궁·종묘·조선왕릉을 19일까지 휴무일 없이 전부 무료 개방하며 창덕궁 후원 및 유료행사는 제외된다.또 ▲서울의 암사동 유적과 서대문형무소 ▲수원 화성행궁과 남한산성 행궁 ▲강릉 오죽헌 ▲태백 용연굴과 영월 고씨굴 ▲단양 온달동굴 ▲공주 무령왕릉과 공산성 ▲아산 외암마을 ▲남원 광한루 등 지자체가 관할하는 54곳의 전국 유료입장 국가유산들도 같은 기간 무료 입장으로 개방된다.이 기간에 무료로 개방되는 지자체 관할 54곳의 국가유산은 각 지자체에 운영시간 등을 확인해 방문하면 된다.아울러 오는 6월 30일까지는 ‘조선왕릉 숲길’ 9곳도 한시 개방된다. 숲길 개방 시간은 해당 조선왕릉의 관람 시간과 같으며 방문객은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조선왕릉 숲길은 ▲구리 동구릉 ‘휘릉~원릉 및 경릉~자연학습장 숲길’ ▲남양주 광릉 ‘복자기나무 숲길’ ▲남양주 사릉 ‘능침 뒤 소나무길’ ▲서울 태릉과 강릉 ‘태릉~강릉 숲길’ ▲화성 융릉과 건릉 ‘융릉~건릉 숲길’ ▲파주 삼릉 ‘공릉 북쪽 및 영릉~순릉 작은연못 숲길’ ▲여주 영릉과 영릉 ‘영릉 외곽 숲길’과 지난해 정비공사를 마치고 새롭게 개방하는 ▲서울 의릉 ‘천장산 숲길’ ▲파주 장릉 ‘공릉
2024-05-16 15:3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