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살다가 시골 생활, 어떠세요?" 귀농·귀촌 10가구 중 7가구는...
도시에서 살다가 농촌으로 이주한 귀농·귀촌가구의 약 71%는 농촌 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19~2023년 귀농·귀촌한 6천가구를 대상으로 지난해 9~11월 면접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밝혔다.농축산업에 종사하는 귀농가구 3천곳 중 71.8%는 '생활에 만족한다'고 답했고, 농축산업에 종사하지는 않지만 도시에서 농촌으로 온 귀촌가구 3천곳 중 71.3%도 '지금의 생활이 좋다'고 답했다.귀농·귀촌가구의 농촌생활 만족도는 전년 조사 당시와 비교해 각각 5.1%p, 2.0%p 올랐다. 또 귀농가구의 71.4%, 귀촌가구의 51.4%는 지역 주민과 관계가 좋다고 응답했다.귀농·귀촌 5년차 연평균 가구소득은 각각 3천621만원, 4천154만원이었다. 농촌에 간 첫해와 비교하면 각각 31.1%, 10.6% 증가한 수준이다.귀농·귀촌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각각 194만원, 204만원으로 도시에 살 때보다 25.1%, 11.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귀농 준비기간은 평균 30.1개월, 귀촌은 17.9개월이었다.귀농가구 중에서는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 생활 후 다시 연고지로 이주(U형)했다는 응답이 74.3%로 가장 많았고, 귀촌가구 중에서는 도시 출신이 농촌으로 이주한 경우(I형)가 48.9%로 가장 많았다.귀농 이유는 자연환경(31.9%), 가업승계(20.0%), 농업의 비전과 발전 가능성(19.8%) 순으로 나타났고, 30대 이하는 6년째 농업의 비전 및 발전 가능성(30.5%)을 가장 큰 귀농 이유로 꼽았다.귀촌가구가 농촌으로 이주한 이유도 자연환경(19.3%)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정서적 여유(19.0%), 농산업 외 직장 취업(19.0%) 순이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5-03-04 15:41:10
요즘 청년 부부들의 슬기로운 '귀농 라이프'
귀농·귀촌을 준비하는 이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제각기 걸어온 삶이지만 대부분 귀농을 꿈꾸는 이유는 비슷하다. 사람에 치여서, 소음이 싫어서, 한적한 전원생활을 즐기고 싶어서. 최근에는 농사뿐만 아니라 새로운 창업이나 자신만의 기술을 바탕으로 제 2의 귀농·귀촌 인생을 꿈꾸는 젊은 부부들이 늘고 있다. 남편과 함께 전원생활을 시작한지 4년차가 되어가는 한 청년 농업인 A씨는 귀농의 이유에 대해"정신적 스트레스와 미래에 대한 불안감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도시에서 남편은 직장 생활을, 저는 작은 미술교습소를 했었다"면서 "일을 그만두고 고향인 화성으로 내려와 집안의 가업인 친환경 벼농사를 물려받았고, 농사의 농자도 모르던 우리가 농사꾼이 됐다"고 했다.성공적인 귀농 생활 정착을 위해 각종 센터에서 귀농 교육도 받았다. 농촌생활을 한다고 해서 꼭 농사만 지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에서 쌓아올린 노하우나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거나 농촌에서만 가능한 라이프와 접목 시킨다면 새로운 창업 아이템이 될 수도 있다. 그는 "농업도 5차 산업시대에 발 맞추어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교육 받았다"라면서 "우리가 어떤 사업을 할 수 있을지 정말 많이 고민했다"고 했다. 고민 끝에 생각한 아이템은 바로 강아지 수제 간식. 그는 "어미 진돗개로부터 백구와 황구 두 마리를 입양했고, 정말 내 자식처럼 키우다보니 '개'라는 동물에 대한 애정을 키우게 됐다. 이후 새끼 골든리트리버 두 마리를 더 키우게 되면서 총 4마리를 키우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아파
2020-12-30 15: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