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트륨 생각보다 많네…편의점 판매 음료·간식에 얼마나 들었을까?
편의점 인기 음료 및 간식에 당과 나트륨이 과다하게 들어있어 주의가 당부된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10∼12월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음료, 간식, 식사대용 식품 등 다소비식품 91건의 영양성분을 조사한 결과를 14일 발표했다.제로 음료를 제외한 음료류에 들어있는 1회 제공량당 당류 평균 함량은 22g으로 세계보건기구(WHO) 1일 당류 권고섭취량(50g)의 44%였다. 그중에서도 탄산음료 1캔의 당류 평균 함량은 각설탕 11개와 맞먹는 수준이었다. 탄산음료 중 청소년들이 자주 마시는 에너지음료는 1캔당 당류 평균 함량이 35g으로, 음료 1캔만 마셔도 WHO 당류 권고섭취량의 70%를 섭취하는 셈이다.간식류의 1회 제공량당 당류 평균 함량은 20g으로, 초콜릿 함유 빵은 최대 42g으로 나타났다.편의점에서 파는 식사대용 식품의 1회 제공량당 나트륨 평균 함량은 685㎎(310∼1천333㎎)으로 조사됐다. 햄버거, 삼각김밥 등 즉석섭취식품과 소시지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나트륨 함량이 제일 높은 개별 식품은 소시지(1천333㎎/1개)로, WHO 1일 나트륨 권고량(2천㎎)의 67% 수준이다.연구원은 이번 조사에서 당류 함량이 표시 기준을 초과한 4개(캔디류 2건, 빵류 1건, 초콜릿가공품 1건)의 제품에 대해 관할 기관에 행정처분을 의뢰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4-14 09:02:58
육포 제품별 나트륨·당류 차이 커…일부는 리콜 권고
한국소비자원이 일부 육포 제품에 리콜을 권고했다.이번에 소비자원이 육포 18개 제품의 영양성분, 안전성을 시험하고 제품 표시실태 및 가격 등을 조사한 결과 1개 제품에서 곰팡이가 확인돼 사업자에게 리콜 및 품질관리 개선을 권고했다.병원성 미생물, 식품첨가물 등 안전성은 관련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함량은 탄수화물 및 지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나트륨과 당류 함량은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다.육포 1회 섭취 참고량(15g)당 단백질 함량은 평균 4~6g이었다. 이는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7~11%로 함량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반면 탄수화물은 1~2%, 지방은 1~6%로 낮았다.나트륨 함량은 117~248㎎으로 나트륨 1일 영양성분 기준치(2000㎎)의 6~12% 수준이었다. 당류 함량은 0.5~5.6g으로 당류 1일 영양성분 기준치(100g)의 1~6%였다.제품의 단단한 정도를 시험한 결과, 5개 제품은 상대적으로 단단한 편이었다. 1개 제품은 상대적으로 부드러웠다.조사 대상 중 2개 제품은 영양성분 표시치와 실제 함량에 차이가 있어 품질관리 및 표시개선이 필요했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간 육포 관련 소비자워에 접수된 위해 사례는 38건이었다. 이상증상 발생(19건), 곰팡이 오염(12건) 등이 있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3-12 12:40:21
매운 맛 소스 20종 비교했더니…
시중에 판매되는 매운맛 소스 중 캡사이신류 함량이 제품 간 270배 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연맹은 매운맛 소스 국내 11종과 수입 9종 등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품질과 매운맛 정도, 영양성분,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를 18일 발표했다.매운맛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캡사이신류 함량을 시험 결과 틈새소스(팔도)가 877.2㎎/㎏ 가장 많았고, 제이-렉 스리라차 소스(천하코퍼레이션)이 3.2㎎/㎏으로 최대 274배 차이가 났다.캡사이신과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을 합쳐 100㎎/㎏이 넘는 제품은 리고 루이지애나 엑스트라 핫소스(훼밀리인터내셔날·101.5㎎/㎏), 만능 마라소스(더본코리아·151.6㎎/㎏), 불닭소스(삼양·250.4㎎/㎏), 고맙당 저당 핫불닭소스(특별한맛·323.3㎎/㎏) 등이었다.나트륨 함량은 네키드크루의 진돗개핫소스가 1회 기준량을 100g으로 잡을 경우 2909.09㎎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나트륨 일일 권장 섭취량(2000㎎)을 초과한다. 벨라 핫 양념치킨 소스는 나트륨 함량이 756.89㎎으로 가장 낮아 진돗개핫소스와 51배 차이가 났다.WHO 나트륨 일일 권장 섭취량을 넘는 제품은 리고 루이지애나 엑스트라 핫소스(2022.07㎎), 만능 마라소스(더본코리아·2155.01㎎), 스리라차핫칠리소스(미성패밀리·2461.74㎎), 틈새소스(2031.95㎎) 등 5개다.당류 함량은 저당을 광고하는 4개 제품과 당류가 불검출된 1개 제품을 제외한 15개 제품 중 100g당 최저 0.1g(타바스코페퍼소스·오뚜기)에서 최고 35.3g(데일리 핫칠리소스·이마트)로 나타났다.전 제품은 대장균군과 타르색소, 보존료 등을 검사한 결과 불검출되거나 적합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소스류 산성
2024-04-18 14:11:54
간편 사골육수 나트륨 함량 조심해야
시중에서 판매 중인 간편 사골육수 일부 제품의 나트륨 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충남소비자연맹은 시중에 판매 중인 간편 사골육수 10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품질 ▲표시 적합성 등을 조사한 결과를 19일 발표했다.10개 제품 모두 ▲미생물 ▲식품첨가물 ▲항생제 등이 검출되지 않아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일부 제품에서 나트륨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간 나트륨 함량(100g당)은 최대 13.3배 차이가 났고, 제품 1개당 비교했을 시 최대 25.1배의 차이를 보였다.이 중 1개 제품은 나트륨 함량이 약 2248㎎으로 1일 영양성분 기준치 2000㎎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4개 제품은 기준치의 절반 수준에 달했다.대전충남소비자연맹은 "나트륨 함량이 높은 제품을 섭취할 때는 섭취량을 조절하거나 나트륨 배출에 도움을 주는 칼륨이 함유된 식품을 함께 섭취하고, 제품 구매 시 영양성분 표시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3-19 16:45:37
서울시, "영유아 과자류 중 14% 나트륨 함량 높아"
영유아들을 위한 과자들 중 일부의 나트륨 함량이 기준치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3월부터 8월까지 서울시내 대형·친환경마트, 백화점 등에서 영·유아 과자류 78건을 구입해 나트륨과 칼륨의 함량을 조사해 31일 발표했다.그 결과 14%인 11개가 나트륨 함량이 높아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트륨 기준은 영유아 대상 식품 100g당 200㎎(치즈류는 300㎎) 이하다. 표시량과 측정값을 비교했을 때 허용오차 범위인 120%를 초과한 식품은 2개 있었다.연구원은 "유아기 나트륨 과잉 섭취는 소변 중 칼슘 배설을 증가시켜 골격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알려졌다"며 "영양성분 표시를 확인해 섭취량을 조절해야 한다"고 권고했다.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21-08-31 13:10:34
냉동 핫도그에 소스까지 뿌리면…"나트륨·당류 과다섭취 주의"
아이들이 즐겨 찾는 간식 중 하나인 냉동핫도그에 소스를 뿌리거나 탄산음료를 함께 먹을 경우 나트륨과 당류를 과다섭취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 소비자원은 시중에 판매하는 기본 핫도그와 치즈가 들어간 핫도그, 두 종류의 12개 제품을 대상으로 영양성분 함량과 안전성 등을 조사한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이들 제품의 평균 열량은 1일 기준치 대비 12% 수준이었다. 나트륨은 평균 22%, 지방 20%, 포화지방 18%, 단백질 13%, 탄수화물 9%, 당류 5%였다.어린이 기준으로 보면 제품 1개당 나트륨 함량은 1일 충분 섭취량(건강 유지에 충분한 양)의 28~52%, 당류 함량은 세계보건기구(WHO)의 당류 섭취 권고량의 7~24% 수준이었다. 어린이의 1일 나트륨 충분 섭취량은 1천200㎎, 당류 섭취 권고량은 37.5~42.5g이다.냉동 핫도그에 케첩이나 머스타드 등 소스를 첨가하면 나트륨 함량이 어린이 충분 섭취량의 46%, 냉동 핫도그의 경우 52%로 증가했다.또한 소스에 탄산음료까지 함께 먹으면 당류 함량이 일반 핫도그는 어린이 섭취 권고량의 77%, 치즈 핫도그는 83%까지 증가했다. 소비자원이 지난 4월 소비자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60.9%는 냉동 핫도그와 함께 케첩을, 32.8%는 탄산음료를 즐긴다고 답한 바 있어 섭취시 주의가 요구된다. 제품별 내용물 구성은 일반 핫도그의 경우 ‘오뚜기 맛있는 오리지널 핫도그(㈜오뚜기)’가 32g으로 소시지 함유량이 가장 많았고, ‘리얼 핫도그(㈜이마트)’가 23g으로 상대적으로 적었다.치즈 핫도그는 ‘모짜렐라 크리스피 핫도그(㈜이마트)’가 소시지 25g, 치즈 21g으로 함유량
2020-11-18 10:30:03
식사대용 컵밥, 열량 낮고 나트륨 높아…영양 불균형 주의
한 끼 식사로 인기가 높은 컵밥. 안전성에 문제는 없지만 일부 제품은 열량이 낮고 나트륨이 높아 영양 불균형이 우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제육덮밥류, 육개장국밥류 등 13개 컵밥 제품을 대상으로 영양성분 함량, 재료 구성, 매운맛 성분 등에 시험·평가한 결과를 2일 공개했다. 시험 결과 컵밥 열량은 하루 에너지 섭취 참고량(2,000 kcal)의 21.7% 수준으로 한 끼 식사를 대신하기에는 낮은 반면, 나트륨은 1일 기준치(2,000 mg)의 50.3%로 높은 편이어서 영양 불균형이 우려됐다.제육덮밥류의 경우 열량은 ‘제육컵밥(㈜더빱)’이 625 kcal로 가장 높았고, ‘철판제육덮밥(씨제이제일제당㈜)’이 368 kcal로 가장 낮았으며, 나트륨 함량은 ‘매콤제육덮밥(롯데쇼핑㈜)’이 1,337 mg으로 가장 높았고, ‘제육불고기밥(㈜로그온커머스)’이 408 mg으로 가장 낮았다.육개장국밥류의 경우 ‘육개장국밥(㈜에스피씨삼립)’의 열량이 392 kcal로 가장 높았고,‘육개장컵국밥(㈜이마트)’이 313 kcal로 가장 낮았으며, 나트륨 함량은 ‘육개장국밥(㈜에스피씨삼립)’이 1,532 mg으로 가장 높았고, ‘육개장컵국밥(㈜이마트)’이 1,043 mg으로 가장 낮았다.소비자원 관계자는 "컵밥으로 식사를 대체할 경우 균형있는 영양 섭취를 위해 단백질 등 부족한 영양성분을 보충하고, 칼륨 함량이 높아 나트륨 배출에 도움을 주는 우유, 달걀 및 바나나 등의 식품을 함께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전했다. 특히 34.2%의 소비자가 컵밥과 함께 라면·컵라면 등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2020-09-03 10:21:03
컵밥 등 일부 가정간편식, 나트륨 높고 영양성분은 부족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부 가정간편식의 영양성분이 '1일 영양성분기준치'에 부족하고 나트륨 함량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최근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볶음밥, 컵밥, 죽 등 가정간편식에 대한 영양성분 함량 정보를 조사해 공개했다. 식약처는 가정간편식 영양성분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지난 10월 21일부터 올해 1월 30일까지 대형마트, 온라인, 상생마트 등에서 판매하는 볶음밥 106개, 컵밥 60개, 죽 88개 등 총 254개 가정간편식 식사류 제품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볶음밥, 컵밥, 죽과 같은 가정간편식 식사류는 1회 제량 당 평균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등이 1일 영양성분기준치에 비해 모두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한 끼 식사대용으로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제품의 1회 제공량 당 평균열량은 주요 섭취 연령(19~29세)남자의 1일 에너지 필요량(2,600kcal)의 12.4%수준이었다. 이는 편의점 도시락(750kcal, 28.8%), 라면 (526kcal, 26.3%) 보다 낮은 수준이다. 또한 평균 단백질과 지방 함량은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낮고, 평균 나트륨 함량은 세계보건기구 1일 나트륨 권장 섭취량 (2,000㎎)대비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식약처는 나트륨 함량은 가정감편식 식사류 제조별로 큰 차이를 보여 제품 선택시 영양성분 표시를 반드시 확인하고 구매할 것을 권했다. 일부 나트륨 함량이 높은 가정간편식은 라면 제품의 평균 나트륨 함량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볶음밥에서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은 제품은 씨제이제일제당(주)의 '쉐프솔루션 햄야채볶음밥'가장 낮은 제품은 웬떡마을
2020-02-18 10:3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