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갈아타야 되니?" 복잡한 서울 지하철 노선도, 싹 바뀐다
각기 다른 디자인으로 표시됐던 서울 지하철 호선별 노선도(단일 노선도)가 41년 만에 표준화된다. 이로써 급행·환승 등 표기를 파악하기 더 쉬워지고, 색각 이상자도 문제없이 노선을 구분할 수 있을 전망이다.16일 서울시는 내·외국인 모두 쉽게 읽을 수 있는 '신형 노선도'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는 1974년 1호선 개통 이후 여러 디자인으로 운영해 온 단일노선도를 표준화하기 위해 만든 새 노선도다.이에 따라 서울 지하철 호선별 노선도는 40여 년 만에 전면 교체된다.기존 노선도는 역의 위치와 이동 방향, 지자체 경계 등 주요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고, 급행·환승 등 표기체계도 호선별로 달라 혼란을 초래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특히 외국인을 위한 다국어 표기, 역 번호 등이 부족해 관광객을 위한 편의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서울시는 시각·색채·정보디자인 등 각 분야 전문가의 의견과 검토를 통해 새로운 표준 디자인을 마련했다. 신형 단일노선도는 가로형, 세로형, 정방형(안전문 부착형)의 세 가지 형태로 부착된다.새 노선도는 색각 이상자도 구분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색상체계가 적용됐고, 환승 노선은 신호등 방식으로 나타내 시인성을 높였다. 또 역 번호, 다국어 병기 등 외국인 관광객 편의를 위한 요소도 강화됐다.시는 서울교통공사와 협의해 올해 하반기부터 전동차와 승강장 등에 새 노선도를 순차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5-04-17 17:01:22
색맹·색약자도 구분 쉽게…지하철 노선도 개선
서울시가 지하철 노선도의 최종 디자인을 발표했다. 신규 노선도는 색맹·색약자도 구별 가능한 노선별 색상이 특징이다.서울시는 지난 9월 개최한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 공청회'에서 2호선 원형, 다이어그램 방식 적용 등 시민과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최종 디자인에 반영했다고 25일 밝혔다.공청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한강을 중심축으로 한 2호선 원형 순환선으로 시각적 이해도가 높다며 기존 노선보다 역을 찾기 쉽다고 평가했다.기존 노선도는 1980년대의 형태를 유지한 채 노선만 추가돼 다양한 형태로 혼용되고 있어 추가 확장 노선 적용이 어려운 상태였다. 각도가 다양한 다선형이라 위치를 알기 어렵고 환승역 표기가 일반역과 잘 구분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었다. 공항·강·바다 등 지리적 위치에 대한 인지 부족, 역 번호 표기 부재 등도 문제로 꼽혔다.이번에 발표한 노선도는 많은 노선과 환승역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8선 형을 적용했다. 8선 형 디자인은 수평·수직·45도 등 대각선과 직선만 허용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도식화 지도의 표준이다.또 시인성 개선을 위한 신호등 방식의 환승역 표기를 했고 위치 이해도를 높이는 지리 정보 표기, 노선 간 구분이 쉬운 색상·패턴 적용도 이뤄졌다.새로운 노선도를 통해 기존노선도보다 역 찾기 시간은 최대 약 55%, 환승역 길 찾기 소요 시간은 최대 약 69% 단축된다.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새 노선도는 시각 약자, 외국인 등 모두를 배려한 읽기 쉬운 디자인으로 지하철을 더욱 편하게 이용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춘 디자인을 적용해 글로벌
2023-12-25 14:3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