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구 싱크홀은 인재...9호선 연장, 최적의 설계 적용됐나" 국토부 규명 촉구
최근 서울 강동구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땅 꺼짐)의 원인을 국토부에서 규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성명을 통해 "지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서울시가 아닌 국토교통부가 즉시 사고조사위를 구성·운영해 (싱크홀) 사고 원인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경실련은 이날 "서울시는 명일동 지반침하 사고 이튿날 국토부와 함께 사고조사위를 구성해 철저히 원인을 규명하겠다고 했으나, 법령상 사고조사위 구성·운영 주체는 국토부임을 명시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이어 "이번 사고는 인재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턴키(설계·시공 일괄입찰) 방식으로 발주한 서울지하철 9호선 4단계 연장공사에 최적의 설계 제안이 적용됐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경실련은 "최근 10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싱크홀은 2천85건에 달한다"며 "정부는 조속히 사고조사위를 구성하고, 원인 규명을 토대로 싱크홀 예방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앞서 이달 24일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지름 20m, 깊이 20m가량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해 30대 오토바이 운전자 1명이 싱크홀에 빠져 숨졌다.한편 28일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실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서울도시철도 9호선 4단계 연장사업 건설공사 지하 안전 영향평가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사고 발생 지점 인근은 지반이 연약하고 침하량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보고서는 "(사고 지점 인근) 939정거장 단층대 구간은 침하량이 비교적 커, 이 구간에 대한 굴착공사를 하거나 가시설을 설치·해체 공사를 할 때 계측
2025-03-28 11:23:44
서울 학원 밀집도, 역시 OO동이 1등
서울시에서 학원 업종 밀집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대치1동으로 나타났다. BC카드는 9월 기준으로 서울시 내 426개 각 행정동에서 가맹점 개설이 가능한 기준 면적(100㎡) 당 업종 밀집도를 산출했다. 그 결과 대치1동의 학원 밀집도가 61.8로 가장 높았다. 해당 지역 내 가맹점이 영업할 수 있는 전체 면적 중 61.8%에 학원 업종과 관련된 가맹점이 들어서 있다는 의미다. 이어 목5동(47.9), 중계1동(42.7), 대치4동(40.1), 명일제2동(36.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3-11-06 15:2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