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스포츠 안전사고 주의! 의외로 스케이트도 복병
스키․썰매 등 겨울 스포츠 이용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한국소비자원과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가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지난 2019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최근 3년 6개월 동안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으로 접수된 겨울 스포츠 관련 안전사고 1033건을 분석한 결과, 스키가 42.8%(442건)로 가장 많고 스노보드는 32.5%(336건), 스케이트 16.4%(169건), 눈썰매 5.9%(61건) 순이었다.연령대별로는 스키와 스케이트 안전사고가 전 연령대에서 골고루 발생했으며, 스노보드는 10대에서 40대까지 주로 발생했다. 상대적으로 쉽게 탈 수 있는 눈썰매는 10세 미만과 60세 이상에서 주로 발생하였다.원인별로는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89.6%(926건)로 가장 많았고, 부딪힘 사고 5.1%(53건)이었으며, 날카로운 스케이트 날에 다치는 등의 사고도 2.7%(28건)나 발생하였다.증상별로는 뼈와 근육․인대를 다치는 사고가 50.5%(522건)로 가장 많았고, 뇌진탕과 타박상 29.5%(305건), 피부와 피하조직 손상이 15.9%(164건)를 차지하였다.주로 다치는 부위를 살펴보면, 팔과 손이 28.9%(299건)로 가장 많았고, 머리와 얼굴 24.7%(255건), 엉덩이․다리․발 24.5%(253건) 순이었다.이처럼 다치지 않기 위해서 겨울 스포츠를 즐길 때 주의해야 한다. 스키와 스노보드를 타기 전에는 충분한 준비운동으로 무릎, 손목, 발목 등의 관절과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주고 이완시킨다.안전모와 스포츠용 장갑, 보호대, 보안경 등 자신에게 맞는 보호장비 착용을 철저히 한다. 넘어질 때 몸의 충격을 덜어 줄 수 있도록 안전하게 넘어지는 요령을 익히고, 넘어졌을 때는 주변 사람과 부딪히기 쉬우니 즉시 안전한 곳으로 나온다. 스키 활주
2022-12-22 10:46:15
'스키장의 계절' 아이·부모 모두 200% 즐기는 방법은?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의 스키장 개장이 본격화됐다. 특히 중부 지방까지 눈이 내리며 일상의 설경에 매료된 사람들이 이번 주말을 기점으로 대거 스키장을 찾을 전망이다. 이에 키즈맘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영유아 자녀를 둔 가정이 스키 라이딩을 할 때 유의할 점을 짚어봤다. 재미있게 즐기기 위해 필요한 것은 처음부터 끝까지 '들뜬 마음'이 아닌 오직 '안전'임을 명심하자. 다음은 키즈맘과 정인섭 대한스키학교 감독과의 일문일답.KIZMOM 7세 이하 영유아가 스키장에서 선호하는 스포츠는 무엇인가요?정인섭 감독(이하 정) 어린 아이들은 두 발이 묶여 있는 보드보다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스키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최근에는 4~5세 어린이들도 부모님을 따라 스키와 보드 구분 없이 설상 스포츠 자체를 즐기는 것도 추세라고 할 수 있겠네요. KIZMOM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부모가 자녀에게 당부해야 할 내용을 알려주세요.정 스키장마다 존재하는 안전수칙이 있습니다. 부모님도 이를 그냥 넘기지 마시고 필히 숙지한 다음 아이에게 알려주세요. 부모의 시야에서 벗어나더라도 아이가 보호 장비를 항상 착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주시고 아이가 코스에 욕심을 부리지 않고 자신에게 맞는 곳에서 스키를 즐길 수 있도록 가르쳐주세요. 또한 라이딩 중간에 휴식시간을 반드시 가져야 합니다. 아이가 재미있어 한다고 원하는 만큼 계속해서 라이딩을 하도록 내버려두면 몸에 무리가 올 수 있고 이는 사로고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KIZMOM 스키 장비를 대여해도 괜찮을까요?정 괜찮습니다. 하지만 운동 시 본인에게 꼭 맞는 운동화를 신었을 때 최상의 운동 효과를 기대할 수 있
2018-12-13 17:3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