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밥 해줘야겠네"...콩 식품 먹은 어린이, 주의력·사고력 '쑥쑥'
콩 식품이 어린이의 사고력과 주의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에 따르면 콩 속에 함유된 이소플라본 성분이 어린이 인지 능력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 나이만 A. 칸 교수팀은 2일(현지시간)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영양학회 연례 회의(NUTRITION 2024)에서 이런 내용을 보고했다. 연구팀은 7~13세 어린이의 이소플라본 섭취량과 인지 능력 간 연관성을 알아보는 실험에서 이 같은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아즐라 브리스티나 연구원은 "미국에서 콩 식품이 어린이 식단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이 연구는 콩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가 어린이의 인지 능력에 중요하다는 증가를 제시한다"고 말했다.이소플라본은 주로 대두 등 콩과 식물에 많이 들어 있는 성분이다.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성질이 비슷해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라고 불린다.연구팀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에서 이소플라본이 기억력을 높일 수 있다는 결과가 나오긴 했지만, 어린이에 대한 효과는 깊이 있게 연구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연구팀은 해당 연구에서 7~13세 어린이 128명을 대상으로 7일간 식단 정보를 수집한 다음, 이소플라본과 비타민 등 다양한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했다. 이후 서면 테스트로 일반적인 지능 능력을 검사했다.이어 주의력을 측정하기 위해 컴퓨터 과제를 수행하게 했고 뇌파(EEG) 활동을 기록해 정보처리 속도와 주의력을 평가했다.이들 어린이의 하루 이소플라본 섭취량은 0㎎~35㎎으로 개인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났지만, 평균적인 섭취량은 1.33㎎으로 평소 콩 식품을 적게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주의력 실
2024-07-04 11:48:31
우리 아이에게 처음 알려주는 '컴퓨팅'
유아교육 전문기업 피디엠은 유·초등생의 창의력과 컴퓨팅 사고 발달을 돕는 창의융합교구 '큐비코 메이커(Cubico Maker)'를 출시했다고 6일 밝혔다.큐비코 메이커는 컴퓨터 없이 컴퓨팅 개념의 이해를 돕고, 메이커 놀이 활동을 통해 아동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체험형 교구다. 팝업북, 과학카드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플러그드 활동과 스스로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어보는 '오토마타(Automata)' 등의 메이커 활동을 결합해 제작했다. 유치원 등 교육 기관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활용 가능한 지도서가 포함돼있어 어디서든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이 가능하다.또한, 아이의 흥미를 유발하는 '카툰 스토리'와 집중력을 키우는 '코딩 송'을 통해 컴퓨터 과학의 기본 개념을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구성했다. 순차, 반복 등 코딩의 여러 개념을 배울 수 있는 '메이커 놀이활동'은 스스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창의성 증진 콘텐츠로, 아동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다. 큐비코 메이커는 3월 신학기부터 국내 국공립 유치원 등 다수의 유아 교육기관에서 활용된다. 교사는 유아의 발달 단계에 맞는 연간 총 48차시의 커리큘럼을 기반으로 매달 학습 목표에 따라 놀이 활동을 진행한다.피디엠은 "유·초등생의 창의융합 교육을 통해 소프트웨어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과학 기술 기반의 융합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능력을 키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한편, 지난해 6월 출시한 '큐비코'는 캐릭터의 미션 수행을 통해 코딩의 기본 개념을 익힐 수 있는 코딩교육 솔루션으로 어린 자녀를 둔 학부모에게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2018-03-06 12:00:09
어휘폭발기 한글교육 어떻게 시켜야 할까
생후 10개월쯤 첫 단어를 말하게 되는 영아는 18개월이 되면 50개 정도의 단어를 말하게 된다. 이후 6개월간 말이 부쩍 늘어 24개월이 되면 300개 정도의 단어를 말하게 된다. 18개월 동안 50개의 단어를 말하는데 반해, 놀랍게도 6개월 사이에 말할 수 있는 단어의 수가 5배가량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 아이가 하루하루 말하는 단어를 그래프로 그린다면 24개월 전후로 그래프의 경사가 수직이 될 만큼 아이가 말하는 단어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이처럼 아이의 어휘가 급증하는 시기를 ‘어휘폭발기’라 부른다.세계적인 언어학자 촘스키에 따르면 아이들은 언어를 쉽고 빠르게 배울 수 있는 ‘언어습득장치(LAD)’를 갖고 태어난다. 하지만 타고난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언어가 발달하고 언어를 쉽고 빠르게 배울 수 있는 시기에 어떤 언어적 자극을 받았는지가 중요하다.인도에서 발견된 늑대소녀의 예에서 알 수 있듯, 어린 시절 말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면 이후 언어교육을 받더라도 제대로 말을 하고 의사소통하기는 어렵다. 어른들보다 아이들이 외국어를 더 빨리 배우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생후 24개월 전후 아이의 어휘가 폭발하듯 증가하는 때 어떤 언어적 자극을 주었느냐에 따라 유아의 언어 발달은 큰 차이를 보인다. 아이에게 하루에 건네는 단어의 양은 물론 질에 따라서도 아이의 어휘발달은 달라진다.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풍부한 언어 환경을 의도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영유아 전문기업 한솔교육(대표 변재용)에서 발표한 연구결과를 보면, 30개월 이전이 한글 교육을 시작한 아이가 그렇지 않은 아이에 보다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고 지능이 높은 것으로
2016-09-07 11: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