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사자성어, '견리망의'란? "자기 편 이익을 위해.."
전국 대학교수들은 올해를 대표하는 사자성어로 '이로움을 보자 의로움을 잊는다'라는 뜻의 '견리망의'(見利忘義)를 선정했다.교수신문은 전국 대학교수 1천31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올해의 사자성어로 응답자의 30.1%(396표)가 '견리망의'를 꼽았다고 10일 밝혔다.'견리망의'를 추천한 김병기 전북대 명예교수(중어중문학과)는 "우리나라의 정치인은 바르게 이끌기보다 자신이 속한 편의 이익을 더 생각하는 것 같다"며 "출세와 권력이라는 이익을 얻기 위해 자기편에 이로운 방향으로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한 경우로 의심되는 사례가 적잖이 거론된다"고 지적했다.견리망의를 고른 교수들은 대통령의 친인척과 정치인들이 이익 앞에 떳떳하지 못하고, 고위공직자의 개인 투자나 자녀 학교폭력에 대한 대응 등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교수들은 사회 전반적으로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가치가 상실되는 시대가 됐다며 사회 지도층이 공동체의 의로움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2위는 25.5%(335표)를 얻은 '적반하장'이 차지했다. 적반하장은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이다.적반하장을 추천한 이승환 고려대 명예교수(동양철학)는 "국제외교 무대에서 비속어와 막말을 해놓고 기자 탓과 언론 탓(을 하고), 무능한 국정운영의 책임은 전 정부 탓(을 하고), 언론자유는 탄압하면서 자유를 외쳐대는 기만을 반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위는 24.6%(323표)를 얻은 '남우충수'가 차지했다. 남우충수는 '피리를 불 줄도 모르면서 함부로 피리 부는 악사들 틈에 끼어 인원수를 채운다'는 뜻으로 실력 없는 사람이 높은
2023-12-10 17:19:41
직장인 올해의 사자성어 ‘다사다망’…자영업자는 ‘노이무공’
직장인들이 올해 자신의 상황을 잘 나타내는 사자성어로 '일이 많아 몹시 바쁘다'는 의미의 '다사다망'(多事多忙)을 가장 많이 꼽은 것으로 조사됐다.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지난 5일부터 7일 사이 직장인 등 성인남녀 2천9백71명을 대상으로 올해 '자신의 사자성어'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전체 14.2%가 '다사다망'을 선택했다고 오늘(10일) 밝혔다. 이어 '마른 나무나 불기 없는 재와 같이 생기와 의욕이 없는 상태'를 일컫는 '고목사회'(枯木死灰), 애만 쓰고 보람이 없음을 뜻하는 '노이무공'(勞而無功)을 선택한 응답자가 각각 13%와 11.5%로, 나란히 2·3위를 차지했다.'스스로 살길을 찾는다'는 의미의 '각자도생'(各自圖生)은 11.3%, '쉽게 잠을 이루지 못한다'는 뜻의 '전전반측'(輾轉反側)이 근소한 차로 뒤를 이었다.직장인의 경우 15.9%가 '다사다망'이라고 응답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데 비해, 구직자는 '고목사회'(25.4%), 자영업자는 '노이무공'(13.7%)을 꼽은 응답자가 각각 가장 많았다.인크루트 측은 "갈수록 심화하는 취업난 속에서 의욕을 잃어가고 있는 구직자와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의 형편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18-12-10 14:13:50
올해의 사자성어 '파사현정'
때로는 올 한해 다사다난했던 일들을 단 네자로 표현할 수 있기도 하다. 2017년을 마무리하는 지금, 대학 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로 '파사현정(破邪顯正)'이 선정됐다.지난 17일 교수신문은 전국 교수 1000명이 참여한 2017년 올해의 사자성어 설문조사에서 전체 응답 교수 중 340명(34%)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파사현정'을 선정했다고 전했다. '파사현정'이란 '사악하고 그릇된 것을 부수고 사고방식을 바르게 한다'는 뜻으로 불교 삼론종의 중요 논저에 실린 고사성어다. 올해의 고사성어에서 알 수 있듯 교수들은 근본적인 개혁을 주문했다. 최재목 교수는 "사회 곳곳의 곪고 썩어 문드러진 환부를 시원히 도려낼 힘과 용기는 시민들의 촛불에서 나왔다. 적폐청산의 움직임이 제대로 이뤄져 올바름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권영욱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는 "이전 정권은 민주주의 원칙에 위배되는 절차와 방법으로 국정을 운영했다. 이를 단절한 것은 '파사'이며 새로이 들어선 정권은 ‘현정’을 할 때"라고 말했다. '파사현정' 다음으로는 '해현경장'(解弦更張)이 (18.8%)로 그 뒤를 이었다. 거문고의 줄을 바꿔 맨다는 의미로 이 또한 느슨해진 걸 긴장하도록 다시 고치거나 사회·정치적으로 제도를 개혁한다는 뜻이다. 물이 빠지자 바닥의 돌이 드러난다는 '수락석출'(水落石出), 나라를 재건한다는 뜻의 ‘재조산하’(再造山河), 새롭게 거듭난다는 뜻의 '환골탈태'(換骨奪胎) 순으로 강력한 개혁을 주문하는 사자성어들이 상위에 랭크됐다. 한편, 교수신문은 매년 대학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2017-12-18 14:1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