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코로나19 확진자 일평균 30명 넘으면 '사회적 거리두기'
서울과 수도권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계속 늘어나자 서울시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2일 열린 브리핑에서 "오늘 이후 서울시에서 사흘간 일일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30명을 넘거나 병상 가동률이 70%에 달하면 공공의료체계에 부담이 되기 때문에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원순 시장은 "지금까지 잘해 왔고 K방역으로 세계 모든 국가들이 칭찬했는데 우리가 그 명성을 끝까지 유지해야 하지 않겠느냐"면서 "전반전에서 아무리 선방했어도 후반전에서 대량의 실점을 한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고 말했다. 또한 코로나19 고나련 상황이 악화하고 있으며 현 상태가 계속되면 한 달 후에는 신규확진자가 하루 800여 명에 이를 수 있다는 전문가 의견도 나왔다. 이에 박 시장은 "이대로라면 2차 대유행 한 달 전이다. 겨울철 독감유행과 겹칠 경우 지금의 의료방역체계가 붕괴되는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0-06-22 14:58:46
'생활 속'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가나…정부 신중히 검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확산세가 빨라지면서 완화된 방역 수위의 ‘생활 속 거리두기’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로 되돌아 가야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조심스러운 입장이다.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8일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서는 상당수 기업활동이나 영업활동을 위축시켜야 한다. 이는 일반 국민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서민층이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굉장히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도 집단감염 위험이 큰 수도권 내 시설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사실상 영업을 금지한 '집합금지명령'을 내리는 등 선제적인 조치를 했다. 지금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간다면 등교 수업 유지 여부와 기업체 운영에 대한 부분 정도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현재의 ‘생활 속 거리두기’를 유지하고 향후 일주일 동안 확산세가 심상치 않으면 보다 강도가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가는 것을 검토 중이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0-06-08 14:50:01
정부, 생활 속 거리두기 집단방역 기본수칙 발표
정부가 생활 속 거리두기를 위해 회사와 학교 등 사회집단이 지켜야 할 기본수칙을 제시했다. 공동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유행을 차단하기 위해 방역관리자를 지정하고 방역지침을 준수해야 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생활 속 거리두기 집단방역 기본수칙’ 초안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이후 ‘생활 속 거리두기’로 이행할 때 회사나 학교, 사업장 등이 준수해야 하는 방역원칙을 담고 있다. 기본수칙은 ▲공동체가 함께 노력하기 ▲공동체 내 방역관리자 지정하기 ▲공동체 방역지침 만들고 준수하기 ▲발열 확인 등 집단 보호 ▲방역관리자에게 적극 협조하기 등이다. 지정된 방역관리자는 앞으로 공개되는 집단방역 보조수칙을 참고해 공동체 방역지침을 만들어야 한다. 이 관리자는 구성원의 체온과 호흡기 증상 등 건강 상태를 항시 확인하고 고용주 등 공동체 책임자와 구성원은 이러한 확인에 협조해야 한다. 오는 24일에는 일상생활 필수영역에서의 지침 20여종이 공개될 예정이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0-04-22 15: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