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생활폐기물 발생량 2.2% 늘어
환경부가 지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폐기물 종류별 발생 및 처리현황에 대해 조사한 내역을 담은 ‘제6차 전국폐기물통계조사’ 결과를 공개했다.이번 전국폐기물통계조사 결과 1인당 하루에 버리는 생활폐기물은 950.6g으로 5년 전인 제5차 전국폐기물통계조사(2016~2017) 당시(929.9g)보다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종량제봉투에 혼합배출되는 생활폐기물은 255.4g에서 330.8g으로 29.5% 증가했다. 종량제 혼합배출의 주요 증가품목은 폐합성수지류(53.16→93.3g), 물티슈류(10.59→22.49g), 음식물류(12.3→19.73g), 마스크류(4.71g) 등으로 나타났다.이번 조사 중 생활폐기물 현장조사가 진행된 2021년 10월부터 2022년 8월까지는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가 지속되었던 시기로, 그 특성이 조사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음식물류 폐기물의 분리배출량은 1인당 하루에 310.9g으로 제5차 전국폐기물통계조사 당시의 368g에 비해 15.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용가능자원의 분리배출량은 308.8g으로 제5차 조사 결과인 306.5g과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재활용가능자원의 분리배출량을 발생원별로 살펴보면 아파트 218.76g, 연립·다세대 85.99g, 단독주택 68.33g으로 최대 3배 이상의 격차를 보였다. 이번 조사에서는 전국폐기물통계조사 중 처음으로 1회용품에 대한 현황도 조사했다. 조사결과 1인당 하루에 버리는 생활폐기물 중 1회용품이 37.32g으로, 연간 발생량으로 환산 시 2022년 기준으로 70만 3,327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회용품의 배출방식은 종량제봉투에 혼합배출되는 양(25.53g/일·인)이 재활용가능자원으로 분리배출되는 양(11.79g/일·인)의 2배 이상으
2023-04-27 14:25:55
환경부·주요 물류사, 생활폐기물 줄이기 위한 업무협약
환경부가 9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CJ E&M 오쇼핑, 롯데홈쇼핑, 로지스올 등 3개 유통·물류회사와 유통포장재 감량을 위한 자발적 협약식을 가졌다. 이번 협약은 국내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 중 30% 이상을 차지하는 포장 폐기물이 온라인 구매가 늘어남에 따라 대량 발생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됐다.한국통합물류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택배 물량은 25억4278만개다. 국민 1인당 연간 택배 이용 횟수는 49회다.택배에는 상자뿐 아니라 비닐 테이프, 비닐 완충재(뽁뽁이), 아이스팩 등 다양한 일회용품이 사용된다.비닐은 석유를 가공해서 만드는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땅에 묻어도 오랜 기간 썩지 않고 불을 붙이면 몸에 해로운 물질을 내뿜는다. 협약을 체결한 업체들은 친환경 포장을 대폭 늘릴 계획이다.업체들은 테이프 없는 박스, 종이 테이프, 종이 완충재, 물로 된 아이스팩 등 친환경 포장재를 사용할 방침이다. 아울러 재사용이 가능한 포장재를 사용하는 물류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포장 공간과 횟수를 줄이는 등 과대포장을 막기 위해서도 노력한다.앞서 CJ ENM 오쇼핑은 지난해 단계적으로 친환경 포장을 늘린 결과 6만5975㎡ 넓이의 비닐 테이프와 완충재 등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았다. 이는 상암구장(9126㎡) 면적의 약 7.2배에 달한다.이채은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장은 "플라스틱 폐기물 줄이기에 사회 구성원 모두가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한다"며 "이번 협약의 선한 영향력이 유통·물류업계 전반으로 퍼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19-05-09 17:3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