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흡연의 지방간 위험률 증가 영향 확인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이문형 교수와 국립암센터 가정의학과 명승권 교수 연구팀이 흡연이 지방간 발생 위험을 14%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전했다.연구진은 의학 데이터베이스인 펍메드와 엠베이스에서 문헌 검색을 통해 선별한 20편의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메타분석했다. 그 결과,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지방간 발생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1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지역별로는 유럽의 연구에서 흡연과 지방간 발생의 연관성이 뚜렷하게 확인됐다. 아시아에서는 특히 남성 흡연자에게서 지방간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연구진은 흡연이 지방간 위험을 높이는 메커니즘에 대해 여러 가지 가설을 제시했다. 흡연은 간세포의 지방 축적을 촉진하는 물질을 활성화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해 비알콜성 지방간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니코틴이 지방 분해를 촉진해 지방산을 증가시키고, 이 지방산이 간으로 재순환되어 지방간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지방간은 알콜성과 비알콜성으로 구분되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간병변, 간부전, 간암 등으로 악화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기존에 알려진 지방간의 주요 위험 인자로는 체질량지수, 포화지방 및 과당 섭취, 제2형 당뇨병, 음주 등이 있었다.추가로 이문형 교수는 "흡연량과 지방간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개별 데이터가 부족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최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대사성 알콜성 간질환 등 다른 간질환 유형별 구분을 통한 연구도 향후 과제"라고 덧붙였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1-20 17:59:08
유산균이 대장암 등 대장질환 예방에 기여 연구결과 나와
인체에 유익한 세균으로 알려진 유산균이 대장암, 대장선종을 비롯한 대장 질환 예방에 기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연구팀은 대장암 등 대장 질환의 발병률이 낮은 여성 및 55세 이하 젊은 연령대에서 유산균, 낙산균 등 장내 유익균이 많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8일 밝혔다.대장암의 발병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가족력, 흡연 여부, 식습관 등이 있는데, 특히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발병률이 약 2배 높고, 발생 위치에도 차이가 있어 성호르몬이 발병 기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또한 최근에는 대장 내 미생물 환경을 조성하는 ‘장내 세균’이 대장암 발병에 직간접적인 역할을 미친다는 사실이 드러나 암 발병의 원리와 치료법을 밝혀낼 단서로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고 동물실험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이에 김나영 교수팀은 성차·연령 등의 요인과 장내세균총의 변화, 그리고 대장암 발병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해 실제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를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에는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대장선종 및 대장암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대변 데이터가 사용됐다.그 결과, 대장선종이나 대장암을 앓는 환자보다 그렇지 않은 건강한 대조군에서 장내 유익균이 유의미하게 많았으며, 특히 여성 55세 이하 연령에서 각각 유산균(젖산균)과 낙산균 분포가 두드러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이들은 통계적으로도 남성, 고령에 비해 대장암 발병 위험이 낮은 집단인데, 유산균, 낙산균 등 장내 유익균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연구
2024-01-08 16:3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