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이 시간' 줄이면 청소년기 우울감 낮아진다"
어린 시절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 기기 화면을 보여주는 스크린 타임(screen time)을 줄이고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을 늘리면 청소년기 스트레스와 우울 증상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15일 미국의학협회 저널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따르면, 핀란드 이위베스퀼레 대학 에로 하팔라 박사팀이 8년간 핀란드 어린이들의 신체활동과 생활습관, 정신건강을 추적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에 따르면 우울증과 불안 등 정신 건강 문제는 일상생활에 많은 장애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청소년기와 초기 성인기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최대 25~30% 청소년·청년에게 영향을 미친다.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신 건강 위협 요인을 알아내고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에 대한 예방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이번 연구에는 2007년 10월~2009년 11월 수입된 6~9세 어린이 187명의 신체활동과 생활 습관 등에 대한 기준 데이터와 2015년 12월~2017년 12월 수집된 이들에 대한 8년간의 추적 데이터가 활용됐다.해당 데이터에는 아동·청소년기의 누적 신체활동(PA), 앉아있는 행동(SB), 수면 및 식단의 질, 스크린 타임(ST), 스트레스 및 우울 증상 등이 포함됐다.분석 결과 자가 보고된 운동량은 추적 조사 기간에 나타난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및 우울 증상과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지만 스크린 타임은 스트레스 및 우울 증상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자가 보고된 운동량이 많은 경우 스트레스 수준은 낮아지고 우울 증상이 감소했지만, 컴퓨터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스크린 타임이 길어지면 청소년들의 스트레스와 우울 증상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025-02-16 15:17:03
'이것' 지나치게 하는 아이들, 강박장애 위험 ↑
9~10세 때 지나친 온라인 비디오(유튜브 등) 시청이나 비디오 게임이 강박장애(OC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강박장애란 병균이 묻었을까 봐 지나치게 자주 손을 씻는다든가 문을 잘 잠갔는지, 가전제품 스위치를 제대로 껐는지를 거듭거듭 확인하거나 어떤 물건을 특정 순서대로 가지런히 정리해야만 안심이 되는 등의 행동을 반복하는 심리 장애를 말한다.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 의대 소아과 전문의 제이슨 나가타 박사 연구팀이 정부의 지원 아래 진행 중인 건강과 뇌 발달에 관한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4일 보도했다.연구팀은 전체적인 연구 자료 가운데 강박장애가 나타나기 쉬운 연령대인 9~10세 때 연구 대상으로 편입된 아이들 9천2백여 명의 자료를 집중 분석했다.이 아이들은 온라인 스크린 타임(screen time)이 하루 평균 4시간이었다.그로부터 2년 사이에 이 중 4.4%에게서 강박장애가 발견됐다.스크린 타임이 1시간 늘어날 때마다 비디오 게임을 하는 아이들은 강박장애 발생률이 15%, 유튜브 같은 온라인 비디오를 시청하는 아이들은 11% 높아졌다.강박장애는 아이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자료를 근거로 진단됐다.그러나 TV 시청, 휴대폰 문자 교환, 소셜 미디어(SNS)는 강박장애 위험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아이들은 온라인 비디오 시청을 시작하기 전에 건강 상태가 완벽했다고는 할 수 없다. 강박장애 소지가 있는 아이들이 온라인 비디오나 비디오 게임에 끌려 들어가 '중독'됐을 수 있기 때문이다.이는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처럼 가리기가 어
2022-12-27 09:5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