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테무, '액체 괴물' 슬라임서 가습기 살균제 성분 검출
중국 온라인 플랫폼에서 파는 슬라임(끈끈한 어린이 장난감) 제품과 학용품에서 각각 가습기 살균제 성분과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 DBP)와 납 성분이 검출됐다.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5월 둘째 주 해외 온라인 플랫폼 제품 안전성 검사 결과를 9일 발표했다.지난 4월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안전 확보 대책'을 발표한 시는, 4월 말부터 한 달간 어린이용 완구·학용품·장신구·가죽제품 등의 안전성 결과를 매주 공개하고 있다.이번 검사 대상은 알리익스프레스, 테무에서 구입할 수 있는 슬라임 등 어린이 완구 5개와 필통·샤프펜슬 등 학용품 4개다. 이 중 5개 제품에서 가습기 살균제 성분 등 유해 물질이 다량 검출됐다.어린이용 필통(합성수지)에서 검출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가 기준치를 최대 146배 초과했고, 어린이용 샤프펜슬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인 '다이부틸프탈레이트(DBP)'가 기준치 대비 11배 검출됐다. 금속 팁 부위에서는 기준치 대비 1.6배의 납 성분이 초과 검출됐다.말랑말랑한 성질로 '액체 괴물'이라 불리는 슬라임 제품 2종 중 1종에서는 가습기 살균제 성분으로 논란이 일었던 '클로로메틸아이소티아졸리논(CMIT)'과 '메틸아이소티아졸리논(MIT)' 성분이 나왔다. 모두 어린이 제품에 사용이 금지된 성분이다.또 다른 1개 제품에서 검출된 슬라임 장식품(부속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 DBP, DIBP)는 기준치를 213배 초과했다.슬라임에서는 기준치 대비 최대 10배의 붕소 성분이 검출됐다. 피규어 제품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인 다이아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가 기준치를 3배 초과해
2024-05-09 09:18:17
플레이도, KC 인증으로 재미와 안전성 모두 갖춘 신제품 6종 출시
글로벌 완구 기업 해즈브로 코리아의 ‘플레이도(Play-Doh)’가 KC 인증을 획득한 신제품 클레이 6종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플레이도는 65년 이상 전 세계 어린이와 부모님의 사랑을 받아온 브랜드로, 다양한 점토 완구를 선보이는 브랜드이다. 플레이도가 이번에 출시한 신제품은 반짝반짝 바다 슬라임, 반짝이 믹스 슬라임, 몽글몽글 슬라임, 반짝반짝 크런치 싱글캔, 반짝반짝 크런치 보석반지, 뉴 슬라임 종합선물세트 등 총 6종이다. 기존의 플레이도 도우와는 다르게 다양한 종류의 파츠가 포함되어 있거나 폼, 젤리 등 새로운 질감을 느낄 수 있어 아이들에게 색다른 재미를 선사한다. 플레이도 브랜드에서 이번에 출시한 뉴 컴파운드(플레이도 폼, 크리스탈 크런치, 슈퍼 클라우드) 뿐만 아니라 기존에 판매중인 모든 제품에서 포름알데히드 계열의 방부제 불검출은 물론, 이소치아졸리논 계열의 보존제도 함유하고 있지 않아 재미와 안정성 모두 보장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또한, 플레이도의 모든 제품은 공인된 기관의 KC 인증을 획득하였다. 글로벌 점토 완구 브랜드 플레이도의 더욱 재미있고, 안전한 제품은 전국 마트, 토이 전문 매장 등 오프라인은 물론, 쿠팡과 해즈브로 공식 온라인 스토어에서 만나볼 수 있다.키즈맘 뉴스룸 kizmom@kizmom.com
2022-08-02 14:57:19
색종이 등 완구 8개 리콜...기준치 넘은 납·붕소 검출
시중에 판매하는 어린이용 색종이와 찰흙, '액체괴물' 슬라임 등 일부 제품이 안전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밝혀져 리콜 명령이 내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유치원·초등학교 2학기 등교를 대비해 교육용 완구와 학용품 등 총 169개 어린이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조사를 한 결과, 8개 제품은 수거(리콜) 등의 명령을 내리고, 55개는 개선조치를 권고했다고 1일 밝혔다.리콜 조처된 제품 가운데 색종이 1개 제품에선 납이 기준치(300mg/kg)를 21.5배 초과했고, 찰흙 점토 1개 제품에는 유독성이 있어 사용을 제한하는 방부제(MIT, CMIT)가 검출됐다.팔찌류 미술공예 1개 제품 역시 납이 기준치를 4.6배 넘었고, 슬라임 4개 제품에서는 피부 등에 자극을 일으키는 붕소가 기준치를 넘었다. 이 중 2개 제품은 방부제도 검출됐다.개선 조치를 권고받은 제품 55개 제품은 KC 표시나 제조 연월, 사용 연령, 주의사항 같은 표시 의무를 위반했다.국표원은 이번 리콜 정보를 소비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제품안전정보센터와 소비자24에 공개하고, 소비자단체, 지자체 등에도 제공했다.아울러 전국 약 22만개 유통매장 및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된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에도 등록해 리콜제품이 시중에서 유통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감시·조치할 예정이다.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21-09-01 14:12:20
장난감 '액체 괴물'서 또 유해물질…100개 제품 리콜
어린이 장난감 '액체 괴물' 슬라임 100개 제품에서 각종 발암 물질과 독성 물질이 검출됐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시중에 유통 중인 액체괴물 148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100개 제품에서 안전기준치를 초과한 붕소, 방부제(CMIT, MIT), 프탈레이트 가소제 등 유해물질이 확인됐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국표원은 해당 제품에 대해 수거 등의 명령(제품안전기본법 제11조, 어린이제품 안전특별법 제6조)을 조치했다. 또 안전기준에는 적합했으나 KC마크, 제조년월 등의 표시 의무를 위반한 10개 제품에도 개선조치 권고했다.이번에 리콜명령을 받은 100개 제품 중 87개 제품에서 붕소가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 이중에서도 17개 제품은 붕소뿐아니라 방부제(16개 제품)와 프탈레이트 가소제(1개 제품)가 함께 기준치를 초과했다. 이밖에 13개 제품은 붕소 기준치는 충족했으나 8개 제품에서 방부제가, 5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각각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붕소에 노출되면 눈과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고, 반복해서 과도하게 노출될 경우엔 생식 기능과 발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 프탈레이트 가소제는 간과 신장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방부제 성분은 알레르기성 피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조현훈 기술표준원 제품시장관리과장은 "지난해에도 두 차례에 걸쳐 액체괴물 238개 제품을 조사해 방부제, 프탈레이트 가소제 등의 유해물질 기준치를 초과한 90개 제품을 리콜 조치했었다. 그럼에도 부적합률이 개선되지 않고 리콜제품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안전관리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정부는 내일 제품안전정보센터 등의 인터넷
2019-11-11 11:54:38
어린이 장난감 '슬라임'서 기준치 초과 발암물질 검출
말랑말랑한 질감으로 어린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슬라임과 그 부재료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돼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소비자원이 전국 슬라임 카페 20개소의 슬라임 및 부재료 100종을 수거·검사한 결과, 19종(파츠 13종·슬라임 4종 색소 2종)이 안전기준에 부적합해 판매중지·폐기됐다고 23일 밝혔다. 슬라임 카페에서 유통되고 있는 파츠 40종 중 13종(32.5%)에서 허용기준을 초과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고, 이 중에서 3종은 유해중금속(납 카드뮴) 기준에도 부적합했다.파츠는 슬라임에 촉감 색감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하는 장식품으로 1000여 종류 이상 판매되고 있으며, 슬라임 카페에서 뿐만 아니라 액세서리나 팔찌 등 각종 만들기 부자재 등으로도 사용된다.파츠 13종(32.5%)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유량은 최소 9.42%에서 최대 76.6% 수준으로 허용기준(DEHP·DBP·BBP 총합 0.1%이하)을 최대 766배 초과했다.유해중금속이 검출된 파츠 3종(7.5%)의 납 함유량은 최소 530mg/kg ~ 최대 3,628mg/kg으로 허용기준(300mg/kg)을 최대 12배 초과했고, 1종(177mg/kg)은 카드뮴 허용기준(75mg/kg)을 약 2.4배 초과했다.클리어슬라임 20종 중 4종(20.0%)에서 붕소(3종) 및 방부제(2종)가 기준초과 검출됐고, 이 중에서 1종은 붕소와 방부제(CMIT, MIT) 기준에 모두 부적합했다. 슬라임 3종(15.0%)에서 검출된 붕소 용출량은 최소 361mg/kg ~ 최대 670mg/kg로 허용기준(300mg/kg)을 최대 2.2배 초과했으며, 방부제의 경우 슬라임 1종에서는 사용 금지된 방부제인 CMIT MIT가, 다른 1종에서는 BIT(30.5mg/kg, 허용기준 5mg/kg)가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됐다.
2019-07-23 13:27:50
'액괴 놀이' 걱정 끝… 피부자극 테스트 통과한 '몬스터액괴'
국내 최대 클레이 완구 기업 도너랜드의 슬라임 클레이 브랜드 ‘몬스터액괴’가 새학년 새학기를 시작한 어린이들을 응원하기 위해 오는 18일까지 <몬스터액괴, 안전해서 #아이좋아> 이벤트를 개최한다고 밝혔다.도너랜드 공식 페이스북 '천사점토' 페이지에서 해당 이벤트 게시물에 '몬스터액괴가 좋은 이유'를 댓글로 남기면 추첨을 통해 총 16명을 선정해 1등 1명에게는 ‘몬스터액괴 액괴연구소’, 2등 5명에게는 ‘몬스터액괴 젤리몬’, 3등 10명에게는 ‘디슬로잉’을 선물로 준다. 이번 행사는 최근 국가기술표준원이 발표한 어린이 제품 및 완구에 대한 안전성조사 결과에서 상당수의 시판 액체괴물 제품이 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리콜 명령 조치를 받는 등 관련 제품에 대한 유해성 논란이 재점화되면서, KC(안전성 인증) 마크를 획득하고 액체괴물 최초로 국가공인인증기관의 피부자극 테스트를 통과한 안심 액체괴물 도너랜드 ‘몬스터액괴’의 인기가 급증한 데 따라 기획됐다.국표원 발표에 따르면, 12개 업체 14개 액체괴물 제품의 유해물질 함유량이 기준치의 최고 319배를 초과했으며, 이 중 8개는 폐 손상 및 실명 위험이 있다고 알려진 가습기 살균제 성분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과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 성분이 다량 검출됐다. CMIT와 MIT는 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후인 지난 2017년 1월 액체를 포함하는 완구류 및 점토·찰흙 등 학용품에 전면 사용할 수 없도록 제품안전기본법의 안전기준이 개정된 바 있다.'몬스터액괴'는 도너랜드가 지난 2016년 론칭한 국내 최초의 슬라임 전문 브랜드다. 건강에 안전한 원료만을 엄선해
2018-03-14 15: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