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왜 이렇게 예민하지?" MBTI 대신 'HSP' 검사해 보세요
성격을 16개 유형으로 나눈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테스트가 인기를 끈 가운데, 최근에는 매우 민감한 사람들을 구별하는 HSP(Highly Sensitive Person)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2006년 미국의 심리학자 일레인 아론 박사가 제시한 HSP는 '매우 예민한 사람'을 뜻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초민감자'라고 불린다.이는 외부 자극의 미세한 차이도 인식하고 주변 환경에 쉽게 압도당하는 민감한 신경 시스템을 지닌 사람을 가리킨다. HSP는 전 세계 인구의 약 15~2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SP는 크게 '초감각', '초감정', '심미안'이라는 3가지 특성을 나타낸다.초감각은 작은 소리나 밝은 조명에도 예민하게 반응하고 특정 옷감의 질감에도 불편함 등을 느끼는 것이다.초감정은 타인의 감정과 기분을 쉽게 감지하고 사회적 분위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뜻한다.심미안은 자기 주관과 잣대가 강해서 미적 감각에 대해서도 확고한 취향을 가지는 경우다.현재 온라인에는 HSP 테스트가 배포돼 있어 누구나 손쉽게 간이 HSP 검사를 해볼 수 있다.HSP 테스트에는 '다른 사람들의 기분에 영향을 받는다', '밝은 빛, 강한 냄새, 사이렌 소리 같은 것에 의해 쉽게 피곤해진다', '깜짝깜짝 놀란다', '경쟁을 해야 한다거나 무슨 일을 할 때 누가 지켜보고 있으면 불안하거나 소심해져서 평소보다 훨씬 못한다' 등의 항목이 포함돼 있다. 해당하는 항목이 많을수록 HSP일 확률이 높아진다.자신의 행동이나 말이 타인의 기분과 생각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칠지까지 시시각각으로 우려하는 것도 HSP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본인의 예민함을 잘 드러내지 않아 주변인들은 HSP의 예민
2025-02-04 09:53:03
"인성 나빠졌다" 코로나19, 젊은 사람 심리에 영향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젊은 사람들의 인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영국 가디언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매체는 코로나19 대유행 이전부터 진행하던 학술 프로젝트인 '미국 이해 연구'(Understanding America Study)의 평가 결과를 근거로 코로나19 사태의 충격이 인성을 변화시킬 정도로 컸다고 보도했다.심리학자들은 집단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사건과 사람들의 인성 변화가 어떤 연관성을 지녔는지 찾아내지 못했지만, 상실감이나 오랜 격리로 인해 발생한 고충이 인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본다.이번 연구를 이끈 미국 플로리다 의과대학의 안젤리나 수틴 교수는 "특히 젊은 성인들이 전보다 더 침울해지고 스트레스에 취약해졌으며, 덜 협조적이고 남을 덜 신용하게 됐다"고 밝혔다.수틴 교수팀은 '미국 이해 연구'에 등록한 7천109명을 대상으로 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등 5가지 특성에 대해 개인별 검사를 진행했다.18세부터 109세까지 다양한 연령대인 이들은 코로나19 사태 전과 이 사태 초기와 말기에 개인 평균 세 차례 검사를 받았다.코로나19 사태 초기(2020년 3월∼12월)에는 이들의 인성이 상대적으로 안정돼 있었고, 코로나19 사태 이전과 비교해 신경증이 조금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자신의 불안감이 코로나19 때문이라고 여겨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는 경향이 줄어든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그러나 코로나19 사태 2단계(2021∼2022년)에서는 이 신경증 저하 현상은 사라지고, 대신 외향성과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이 코로나19 이전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변화의 크기는 보통 10년 주기로 나타나는 변동폭과
2022-09-29 13:53:46